[Git]add 취소하기: restore, reset 명령어 활용

유재원·2024년 12월 26일
0

Git / Github

목록 보기
4/6

시작하며

  • 이 글에서는 github에 add 했던 것을 되돌리는 방법을 다룬다.
  • Git에서 add한 것을 취소하는 방법이 궁금했다. add 한 후 'Ctrl + z'를 하는
    법을 알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어떤 상황이던 간에 엔터를 누르기 전에 긴장되는 마음은 누구던 원하지 않을 것이다.
  • 찾아보니 git add 명령어로 add(스테이징)된 파일을 다시 unstaged 상태로 되돌리려면 restore와 reset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었다. 그 차이와 활용에 대해서 정리하고자 한다.

1. 특정 파일의 스테이징 취소하기

git restore --staged <파일명>
  • 예시: git add myfile.txt를 실행한 후, 스테이징을 취소하려면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git restore --staged myfile.txt

2. 모든 파일의 스테이징 취소하기

git restore --staged .
  • 설명: 현재 스테이징된 모든 파일을 unstaged 상태로 되돌린다.

3. 이전 명령어 방식 (git reset) 사용

git restore 대신 git reset 명령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 특정 파일:

    git reset <파일명>
  • 모든 파일:

    git reset

추가 참고사항

  • 스테이징을 취소해도 로컬 파일의 변경 사항은 유지된다. 즉, 작업 중인 파일 내용은 그대로 남아 있으니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 즉, .git 폴더 내에 있는 restore와 reset으로 타게팅한 파일의 커밋한 내용이 되돌려지는 거지 현재 작업하는 내용과는 무관하다는 의미다.
  • 만약 파일의 변경 내용까지 되돌리고 싶다면 git restore <파일명>을 사용해야 한다.

마무리

  • 앞으로 안심하고 엔터를 누를 일이 약간은 더 생긴 것 같다.
  • 다음 글에서는 commit 한 이후에 되돌리고 싶은 경우를 다뤄보고자 한다.
profile
나는 달린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