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perText Transfer Protocol
: 컴퓨터들끼리 HTML파일을 주고 받을 수 잇도록 하는 소통방식 또는 약속
: 요청은 사실 메세지에 불과하며, 이 메세지의 구조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 요청의 첫번째 줄이며 이 시작 줄도 세 부분으로 구성
메소드/목표 url/http 버전
ex) GET /login HTTP/1.1 : GET 메소드로 login 이라는 요청 타겟에 HTTP 1.1 버전으로 요청한다는 뜻
: 해당 요청에 대한 추가 정보(메타 데이터)를 담고 있는 부분으로 Key: Value
값으로 되어 있다.
자주 사용되는 Headers의 정보들
Headers: { Host: 요청을 보내는 웹사이트의 기본 주소 (ex. www.apple.co.kr) User-Agent: 요청을 보내는 클라이언트의 대한 정보 (ex. chrome, firefox, safari, explorer) Content-Type: 해당 요청이 보내는 메세지 body의 타입 (ex. application/json) Content-Length: body 내용의 길이 Authorization: 회원의 인증/인가를 처리하기 위한 로그인 토큰 }
: 해당 요청의 실제 내용. 주로 POST 메소드가 Body를 사용
ex) 로그인 시에 서버에 보내는 요청
Body: { "user_email": "test@mail.com" "user_password": "test1234" }
: 응답도 요청과 마찬가지로 메세지이며 구조 또한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
: 응답의 상태 줄. 요청에 대한 처리상태를 클라이언트에게 알려주면서 시작. Status Line 역시 세 부분으로 구성.
http버전 Status코드 Status메세지
ex) HTTP/1.1 200 SUCCESS : HTTP 1.1 버전으로 응답, 프론트엔드에서 보낸 요청에 대해서 성공 → 200 상태 메세지를 보낸다.
: 응답의 추가 정보(메타 데이터)를 담고 있는 부분으로 응답에서만 사용되는 헤더의 정보들이 있다. (요청하는 브라우저의 정보가 담긴 User-Agent 대신, Server 헤더 사용)
: 요청의 Body와 일반적으로 동일. 요청의 메소드에 따라 Body가 항상 존재하는것은 아닌것 처럼 응답도 형태에따라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Body가 없을 수도 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Body의 데이터 타입은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ex) 로그인 요청에 대해 성공 했을 때 응답 내용
Body: { "message": "SUCCESS" "token": "kldiduajsadm@9df0asmzm" (암호화된 유저의 정보) }
: 자주 사용되는 HTTP 통신 메소드 세가지. 해당 메소드들은 프론트엔드(클라이언트)의 입장에서 요청의도가 담긴것임을 잊지 말자!
: 실제로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가장 많이 보게 될 응답 상태 코드들. Status Code의 숫자에 각각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