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의 기반 위에서 존재하는 개념
서로 연관된 함수와 변수가 아주 많아지면 이를 정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
document.querySelector('body');
document
= 객체querySelector()
= 메소드
즉document
라는 객체안의querySelector
가 있는 것이다.
(document(객체)안의 메소드 중 querySelector를 사용한다.)
var job= {
"programmer": "kim",
"designer": "park"
};
- 객체를 만들 때에는 중괄호를 사용
- java에서의
map
과 유사하다. map(key, value)
console.log(job.programmer)
console.log(job["programmer"])
- job.programmer : job이라는 객체에서 "programmer"라는 이름의 값을 찾아서 출력한다.
- job["programmer"] : [] = index로도 값을 가져올수 있다.(공백이 있을경우 유용)
job.salaryman = "koo";
job.["salary man"] = "koo";
객체 . 추가할코드 = 데이터;
두번째 코드의 경우 공백(띄어쓰기)을 사용할때 좋다.
배열에서의 반복문 기능을 보고 순회(iteration)
이라고 부른다.
객체에서는 for in
을 사용한다.
var job = {
"programmer": "kim",
"designer": "park"
};
for(var key in job) {
console.log(key);
}
코드를 실행하게되면
key
값인programmer
와designer
만 출력된다.
모두 출력 하려면 어떻게 해야될까?
for(var key in job) {
console.log(key+' : '+job[key]);
}
job[key]를 추가해 주면 된다.
key = job의 데이터 출력
job[key] = job[key]의 데이터 출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