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선 문제에 대한 이해를 뒤늦게 알았다.정상적인 피보나치 수열에서 n번째의 수에서 1234567로 나누어서 남은 나머지의 값을 구하는게 아니었다. 2번째 요소를 1234567로 나누어서 남은 나머지의 값으로 피보나치 수열을 만드는 것이었다.✅ 그리고 피보나치 수를
❗️ 문자열을 숫자 형태로 변환해서 진행하려고 하다보니 꼬여서 시간이 좀 걸렸다.✅ Math.min(...arr)을 사용해 반복문을 사용하지 않고도 찾을 수 있다는 걸 이 문제를 통해서 확실히 알았다.
✅ 전에 풀었던 유형과 비슷하지만 조금 헷갈려서 다시 공부했다.이 방법은 괄호가 여러가지 유형이 있어도 성립이 되는 코드이기 때문에 앞으로 유용하게 쓰일 것 같다.
✅ 지금은 익숙한 문제이지만 처음 코딩을 입문해서 피보나치를 코드로 풀어야 했을 때피보나치가 뭐였더라...? 했던 기억이😹원리만 잘 이해하면 코드 작성하는 데에도 어렵지 않은 것 같다.✏️ 피보나치는 재귀로도 풀 수 있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