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v.1 2019 KAKAO BLIND RECRUITMENT 실패율
슈퍼 게임 개발자 오렐리는 큰 고민에 빠졌다. 그녀가 만든 프랜즈 오천성이 대성공을 거뒀지만, 요즘 신규 사용자의 수가 급감한 것이다. 원인은 신규 사용자와 기존 사용자 사이에 스테이지 차이가 너무 큰 것이 문제였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할까 고민 한 그녀는 동적으로 게임 시간을 늘려서 난이도를 조절하기로 했다. 역시 슈퍼 개발자라 대부분의 로직은 쉽게 구현했지만, 실패율을 구하는 부분에서 위기에 빠지고 말았다. 오렐리를 위해 실패율을 구하는 코드를 완성하라.
- 실패율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스테이지에 도달했으나 아직 클리어하지 못한 플레이어의 수 / 스테이지에 도달한 플레이어 수
전체 스테이지의 개수 N, 게임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현재 멈춰있는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긴 배열 stag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실패율이 높은 스테이지부터 내림차순으로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겨있는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라.
제한사항- 스테이지의 개수 N은 1 이상 500 이하의 자연수이다.
- stages의 길이는 1 이상 200,000 이하이다.
- stages에는 1 이상 N + 1 이하의 자연수가 담겨있다.
- 각 자연수는 사용자가 현재 도전 중인 스테이지의 번호를 나타낸다.
- 단, N + 1 은 마지막 스테이지(N 번째 스테이지) 까지 클리어 한 사용자를 나타낸다.
- 만약 실패율이 같은 스테이지가 있다면 작은 번호의 스테이지가 먼저 오도록 하면 된다.
- 스테이지에 도달한 유저가 없는 경우 해당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0 으로 정의한다.
function solution(N, stages) {
var arr = [];
var answer = [];
for(let i=1; i<=N; i++){
let fail = 0;
let tried = 0;
let res = 0;
stages.map((stage)=>{
stage >= i ? tried += 1 : tried
stage == i ? fail += 1 : fail
})
fail !== 0 || tried !== 0 ? res = fail/tried : res;
arr.push({res, i})
};
arr.sort((a,b)=>{
if(a.res === b.res){
return a.i - b.i
}
return b.res - a.res;
});
arr.map((obj)=> {
answer.push(obj.i)
});
return answer;
}
낯선 코테에 익숙해지기 위해서 낮은 레벨의 문제, 높은 정답률의 문제만 풀어보다가
난이도 쪼오오~~금 올렸다고 지문조차 이해하기 쉽지 않았다.. 하하
1시간 넘게 걸린 것 같은데 그래도!! 오기가 생겨서 끝까지 힌트없이 혼자 힘으로!! 내가 해냄!!
어떻게 풀었냐면
for문을 사용해 스테이지의 개수를 정의
현재 스테이지에 도달했거나 이미 클리어한 사람의 수 tried
를 구하고
현재 스테이지에 머물러있는 사람의 수 fail
을 구한다
실패율 정의대로 실패율 res
를 구한 후
어떤 스테이지에서의 실패율인지 알아볼 수 있도록
arr
배열에 실패율과 스테이지의 번호를 객체형태로 push 해주었다
조건대로 정렬하기 위해 sort
함수를 활용해주었는데
실패율이 높은 순서대로 정렬하되, 실패율이 같을 경우를 대비해 if문으로 조건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조건대로 정렬된 arr
에서 스테이지의 번호인 i
만 뽑아내어 answer
배열로 push!
알고보니 실패율을 구하는 과정에서 분모나 분자가 0인 상황을 고려하지 못했다
그래서 5번 과정 전에 삼항연산자로 조건을 걸어주고 다시 제출했더니 오류없이 성공!
fail !== 0 || tried !== 0 ? res = fail/tried : res
function solution(N, stages) {
let result = [];
for(let i=1; i<=N; i++){
let reach = stages.filter((x) => x >= i).length;
let curr = stages.filter((x) => x === i).length;
result.push([i, curr/reach]);
}
result.sort((a,b) => b[1] - a[1]);
return result.map((x) => x[0]);
}
내 코드를 3배 정도 압축한 듯한 간결한 코드
제대로 이해했는지 내일 다시 한 번 풀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