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IP

시바코코개발자·2023년 7월 2일
0

TCP/IP - ARPAnet을 통해서 많은 시행착오를 거쳤기 때문에 굉장히 실용적인 프로토콜
복잡한 네트워크를 다양한 제조사와 사람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의 기능을 크게 나눠서 블랙박스화를 시킵니다.

TCP/IP 5계층

물리계층

  • 실제로 데이터를 물리적으로 전송해(데이터를 전달만 할 뿐, 어떻게 보내는 것이 효율적인지는 생각하지 않음)
  •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전기 신호를 다시 데이터로 복원
    => 랜카드와 케이블이 있다면 두 컴퓨터가 통신이 가능해지는데, 이는 물리 계층 덕분

데이터 링크 계층

  • 여러개의 기기가 연결되어 있더라도 MAC주소라는 고유한 주소로 기기를 잘 분류합니다.
    -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 주소란, 특정 컴퓨터나 모바일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랜 카드에 있는 고유 식별 번호

네트워크 계층

  • 복잡하게 연결된 네트워크에서 IP주소를 이용해서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 정확하게 데이터를 보내는 계층

트랜스포트 계층

  • 두 컴퓨터 사이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고, 포트를 이용해 사용자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으로 정확하게 전달합니다.
  • 트랜스포트 계층은 네트워크 계층 위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두 컴퓨터 사이의 연결을 보장하는 일에만 집중

애플리케이션 계층

  •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계층
  • HTTP나 FRP,SSH 등 사용자(프로그래머)가 직접 다루는 애플리케이션이 이 계층에 해당

신뢰성 있는 데이터 보장, 데이터 전송은 아래 계층들이 담당

OSI 7계층은 TCP/IP 5계층과 같은 네트워크를 위한 표준 프로토콜

  • 하지만 현실 세계에서 동작하는 인터넷은 osi모델로 이루어져 있지 않습니다. TCP/IP 모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인터넷의 시작은 ARPAnet이었습니다.

OSI는 늦게 만들어진 국제표준이기 때문에 TCP/IP를 밀어낼 수 없었다.

TCP/IP 5계층 모델에서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OSI 7계층의 세션 계층, 프레젠테이션 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하나로 표현하는 계층으로 볼 수 있다.

웹브라우저는 HTTP를 사용하기 때문에, 웹서버로 전송할 HTTP메시지가 만들어집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이 데이터를 4계층 즉, 트랜스포트 계층으로 보냅니다.

트랜스포트 계층에서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에 트랜스포트 계층의 약속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맨 앞에 붙임.(그래서 헤더라고 부릅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데이터 + 트랜스포트 계층 헤더=>데이터그램(세그먼트)

데이터 그램은 네트워크 계층으로 보내짐.

데이터 그램 + 네트워크 계층 헤더 => 전체 데이터를 패킷이라고 함.

패킷을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보내짐.

데이터링크 계층의 헤더와 패킷이 합쳐진 것을 프레임이라고 함.

물리 계층에선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부터 받은 프레임을 전기 신호로 바꿔서 물리적으로 전송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