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2레벨] 주차 요금 계산

이민선(Jasmine)·2023년 2월 11일
0

문제

주차장의 요금표와 차량이 들어오고(입차) 나간(출차) 기록이 주어졌을 때, 차량별로 주차 요금을 계산하려고 합니다. 아래는 하나의 예시를 나타냅니다.

요금표

기본 시간(분)	기본 요금(원)	단위 시간(분)	단위 요금(원)
   180	       5000	         10	       600

입/출차 기록

시각(시:분)	차량 번호	   내역
05:34	     5961	   입차
06:00	     0000	   입차
06:34	     0000	   출차
07:59	     5961	   출차
07:59	     0148	   입차
18:59	     0000	   입차
19:09	     0148	   출차
22:59	     5961	   입차
23:00	     5961	   출차

자동차별 주차 요금

차량 번호	     누적 주차 시간(분)	            주차 요금(원)
0000	     34 + 300 = 334	            5000 + ⌈(334 - 180) / 10⌉ x 600 = 14600
0148	          670	                5000 +⌈(670 - 180) / 10⌉x 600 = 34400
5961	     145 + 1 = 146	            5000

어떤 차량이 입차된 후에 출차된 내역이 없다면, 23:59에 출차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0000번 차량은 18:59에 입차된 이후, 출차된 내역이 없습니다. 따라서, 23:59에 출차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00:00부터 23:59까지의 입/출차 내역을 바탕으로 차량별 누적 주차 시간을 계산하여 요금을 일괄로 정산합니다.
누적 주차 시간이 기본 시간이하라면, 기본 요금을 청구합니다.
누적 주차 시간이 기본 시간을 초과하면, 기본 요금에 더해서, 초과한 시간에 대해서 단위 시간 마다 단위 요금을 청구합니다.
초과한 시간이 단위 시간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면, 올림합니다.
⌈a⌉ : a보다 작지 않은 최소의 정수를 의미합니다. 즉, 올림을 의미합니다.
주차 요금을 나타내는 정수 배열 fees, 자동차의 입/출차 내역을 나타내는 문자열 배열 recor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차량 번호가 작은 자동차부터 청구할 주차 요금을 차례대로 정수 배열에 담아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fees의 길이 = 4

fees[0] = 기본 시간(분)
1 ≤ fees[0] ≤ 1,439
fees[1] = 기본 요금(원)
0 ≤ fees[1] ≤ 100,000
fees[2] = 단위 시간(분)
1 ≤ fees[2] ≤ 1,439
fees[3] = 단위 요금(원)
1 ≤ fees[3] ≤ 10,000
1 ≤ records의 길이 ≤ 1,000

records의 각 원소는 "시각 차량번호 내역" 형식의 문자열입니다.
시각, 차량번호, 내역은 하나의 공백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시각은 차량이 입차되거나 출차된 시각을 나타내며, HH:MM 형식의 길이 5인 문자열입니다.
HH:MM은 00:00부터 23:59까지 주어집니다.
잘못된 시각("25:22", "09:65" 등)은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차량번호는 자동차를 구분하기 위한, '0'~'9'로 구성된 길이 4인 문자열입니다.
내역은 길이 2 또는 3인 문자열로, IN 또는 OUT입니다. IN은 입차를, OUT은 출차를 의미합니다.
records의 원소들은 시각을 기준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주어집니다.
records는 하루 동안의 입/출차된 기록만 담고 있으며, 입차된 차량이 다음날 출차되는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같은 시각에, 같은 차량번호의 내역이 2번 이상 나타내지 않습니다.
마지막 시각(23:59)에 입차되는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아래의 예를 포함하여, 잘못된 입력은 주어지지 않습니다.
주차장에 없는 차량이 출차되는 경우
주차장에 이미 있는 차량(차량번호가 같은 차량)이 다시 입차되는 경우
입출력 예

fees	                 records	                                                                                                                                                     result
[180, 5000, 10, 600]	["05:34 5961 IN", "06:00 0000 IN", "06:34 0000 OUT", "07:59 5961 OUT", "07:59 0148 IN", "18:59 0000 IN", "19:09 0148 OUT", "22:59 5961 IN", "23:00 5961 OUT"]	[14600, 34400, 5000]
[120, 0, 60, 591]	    ["16:00 3961 IN","16:00 0202 IN","18:00 3961 OUT","18:00 0202 OUT","23:58 3961 IN"]	                                                                            [0, 591]
[1, 461, 1, 10]	        ["00:00 1234 IN"]	                                                                                                                                            [14841]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요금표

기본 시간(분)	기본 요금(원)	단위 시간(분)	단위 요금(원)
    120	         0	         60	       591

입/출차 기록

시각(시:분)	차량 번호	    내역
16:00	     3961	    입차
16:00	     0202	    입차
18:00	     3961	    출차
18:00	     0202	    출차
23:58	     3961	    입차

자동차별 주차 요금

차량 번호	누적 주차 시간(분)	       주차 요금(원)
0202	     120	              0
3961	     120 + 1 = 121	      0 +⌈(121 - 120) / 60⌉x 591 = 591

3961번 차량은 2번째 입차된 후에는 출차된 내역이 없으므로, 23:59에 출차되었다고 간주합니다.

입출력 예 #3

요금표

기본 시간(분)	기본 요금(원)	단위 시간(분)	단위 요금(원)
  1	           461	        1	        10

입/출차 기록

시각(시:분)	차량 번호	내역
  00:00	   1234	    입차

자동차별 주차 요금

차량 번호	누적 주차 시간(분)	주차 요금(원)
1234	     1439	    461 +⌈(1439 - 1) / 1⌉x 10 = 14841

1234번 차량은 출차 내역이 없으므로, 23:59에 출차되었다고 간주합니다.

나의 코드

function solution(fees, records) {
   records = records.map(record => record.split(" ")).sort((a, b)=> a[1] - b[1]);
   records = Object.entries(records.reduce((acc, cur, i, a)=>{
      acc[cur] =  cur[1] === a[i + 1]?.[1] && a[i+1][2] === "OUT" ? a[i+1].join(",") : cur[2] === "IN" ? `23:59,${cur[1]},OUT` : null;
        return acc;
    },{}));
    const ent_exts = records.filter((v)=> v[1] !== null);

    let mins = [];
    for (let ent_ext of ent_exts) mins.push(calMin(ent_ext));
    const carN_totalMin = Object.entries(mins.reduce((acc,cur)=>{
        acc[cur[0]] ? acc[cur[0]] += cur[1] : acc[cur[0]] = cur[1];
        return acc;
    },{})).sort((a,b)=> a[0] - b[0]);

    let ans = [];
    const [defMin, defFee, unitMin, unitFee] = fees;
    for (let [carN, totalMin] of carN_totalMin) {
       const totalFee
       = totalMin < defMin 
       ? defFee
       : defFee + Math.ceil((totalMin - defMin)/unitMin) * unitFee;
        ans.push(totalFee);
    }
   return ans;
}

function calMin([ent, ext]){
    const carN = ent.slice(6, 10);
    const [inT, outT] = [ent.slice(0, 5), ext.slice(0, 5)];
    const accMin = 60 * (outT.slice(0, 2) - inT.slice(0, 2)) + (outT.slice(3, 5) - inT.slice(3, 5));
    return [carN, accMin];
}

우선 records를 입차 시간과 출차 시간 짝짝꿍으로 구성된 Object.entries를 만들었다. 문제에서 제시된 대로 출차시간이 records에 별도로 없으면 출차 시간을 23시 59으로 맞춰주었다.
Object를 만들 떄 key는 입차 시간이 되고, value는 출차 시간이 된다.
그런데 이렇게 하면 OUT인 기록들도 전부 다 key로 들어가기 때문에 일단 다 쑤셔 넣은 다음 value가 null인 것을 filter로 없앴다.(나도 알아 이 방법이 핵별로라는 것을.. 하지만 아직 실력이 부족한 거슬 ㅠㅠㅠㅠ)
우당탕탕 어찌저찌 입차 시간과 출차 시간이 짝짝꿍 맞춰진 Object.entries가 나왔으니 record 한 줄씩 주차장에 몇 분이나 있었는지 계산해야 한다. 몇 분 있었는지 계산할 때 동일한 차번호는 한번에 계산하고 싶었지만, 그게 잘 안돼서ㅋㅋㅋㅋㅋㅋ 일단 한줄씩 calMin(한 줄당 주차장에 몇분있었는지 계산해주고 차 번호랑 같이 반환해주는 함수) 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추후 같은 차번호 별로 시간을 합칠 예정. (지저분한 거 알지만 일단 파워당당)
다음으로 reduce를 이용하여 차번호 별로 객체의 key를 생성하여 몇 분 있었는지 value로 저장.
마지막으로 머문 시간과 기본 시간을 비교하여 머문 시간이 더 짧으면 기본료만 부과, 머문 시간이 더 길면 문제에서 준 식에 대입하여 ans라는 배열에 push해주고 답 반환. 끝!

uhm.. 일단 패스는 했다만 코드가 너무 지저분한 건 부정할 수가 없다 ㅋㅋㅋㅋ,, 중간중간 구현하고 싶었던 걸 못 구현해서 지저분한 방법으로 돌아돌아 만들어낸 코드들이 많았던 것 같다.
그리고 아주 깔끔하고 배우고 싶은 코드를 보게 되었다.

다른 코드

function solution(fees, records) {
    const parkingTime = {};
    records.forEach(r => {
        let [time, id, type] = r.split(' ');
        let [h, m] = time.split(':');
        time = (h * 1) * 60 + (m * 1);
        if (!parkingTime[id]) parkingTime[id] = 0;
        if (type === 'IN') parkingTime[id] += (1439 - time);
        if (type === 'OUT') parkingTime[id] -= (1439 - time);
    });
    const answer = [];
    for (let [car, time] of Object.entries(parkingTime)) {
        if (time <= fees[0]) time = fees[1];
        else time = Math.ceil((time - fees[0]) / fees[2]) * fees[3] + fees[1]
        answer.push([car, time]);
    }
    return answer.sort((a, b) => a[0] - b[0]).map(v => v[1]);
}

이 코드의 첫 인상: 깔끔하다. 간결하다.
읽어보고 든 생각: 배울 점들이 많다.

우선 (내가 하고 싶었지만 못했던) 차 번호 key 별로 주차 시간 value로 주는 객체 생성하기를 forEach로 순회하면서 끝냈다.
빈 객체를 하나 선언하고
객체 안에 current value가 없으면 current value가 없으면 value를 0으로 할당해주는 부분은 꼭 배워서 써먹어야 겠다.

 const parkingTime = {};
 .
 .
 .
if (!parkingTime[id]) parkingTime[id] = 0;

이 부분 말이다.
여태 객체 만드는 건 reduce로만 거의 했었는데, forEach로 돌면서 빈 객체에 key, value를 생성해주는 방법이 경우에 따라 훨씬 깔끔하고 좋은 것 같다.

그리고 또 배워야 할 점!
1439라는 숫자를 활용한 것이다. (00:00~23:59까지 풀로 주차하면 1439가 된다. 1439 = 60 * 24 - 1)
In이면 1439에서 입차 시각(분으로 환산한 값)을 뺀 값을 초기에 0으로 설정한 값이나 기존 value에 더해주고, OUT이면 1439에서 출차 시각을 뺀 값을 value에서 빼주는 것이다. 내 코드랑 시간 계산하는 방법이 아예 다르다. 나는 1차원적으로 접근했었쥐,, OUT시각에서 IN시각을 빼면 총 머문 시간! 이렇게만 생각했었는데,, 이 코드에서는 1439라는 숫자를 미리 계산해서 활용한 점이 인상 깊었다.

예를 들어서 18:00시 IN, 20:00시 OUT이라면

(1439 - In시각) - (1439 - OUT시각) = 총 주차 시간

앞으로도 시작점과 끝점을 주고 총 기간을 계산할 일이 있으면 이 논리는 많이 활용하게 될 것 같다.

이 코드를 보고 내 코드를 다시 보니 아주 갈길이 멀었다....ㅋㅋㅋㅋㅎㅎㅎ,,,
가독성 좋은 코드를 짜려면 구현하고 싶은 바를 그 때 그 때 깔끔하게 구현할 수 있는 여러가지 방법들을 숙지해 놓고 잘 써먹는 게 중요한 것 같다.
이렇게 많이 배웠다~~ 후후 다른 문제 풀러 갑니다 아디오스~~~

profile
기록에 진심인 개발자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