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의 사전적 정의


인터넷의 사전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전 세계에 걸쳐 원거리 접속이나 파일 전송, 전자 메일 등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컴퓨터 네트워크의 시스템

📌네트워크 관점의 인터넷


네트워크 관점에서 인터넷을 볼 때 의미는 다음과 같다.

Internet = 여러 통신망을 하나로 연결한다는 인터 네트워크(Inter-network)라는 단어에서 시작되었으며 전세계 컴퓨터들을 하나로 연결하는 거대한 컴퓨터 통신망

💡 “그렇다면 인터넷은 어떤 방식으로 동작하는가?”

📌인터넷의 동작 방식


🧭 인터넷은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사용자)와 서버를 연결하며, TCP/IP를라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정보를 주고 받는다.

📌TCP/IP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데이터를 신뢰성있게 전달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토콜

IP(Internet Protocol)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상에서 구분되기 위한 주소

📌인터넷 연결 방식 변화


  1. 1:1 연결
  • 컴퓨터 1대와 컴퓨터 1대끼리 연결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 컴퓨터 ↔ 컴퓨터
  • 두 대의 컴퓨터가 서로 간 통신이 필요할 때 물리적(케이블) 혹은 무선으로 서로 연결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1. 다 대 다 연결
  • 여러개의 컴퓨터를 원하는 만큼 연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 만약 연결하는 대상이 많이 늘어날 수록 굉장히 많은 이더넷 케이블을 필요로 한다.

📌 해결책: 라우터


  • 컴퓨터 ↔ 라우터 ↔ 컴퓨터
  • 라우터주어진 컴퓨터에서 보낸 메시지가 올바른 대상 컴퓨터에 도착하는지 확인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 컴퓨터 B에게 메시지를 보내려면 컴퓨터 A가 메시지를 라우터로 보내야하며, 라우터는 메시지를 컴퓨터 B로 전달하고 메시지가 다른 컴퓨터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네트워크 속의 네트워크


💡 그렇다면 한 국가에서 사용하는 수 백, 수 천, 수 십억의 컴퓨터는 어떻게 연결해야하는가?
  • 두 대 이상의 라우터는 서로 연결이 가능하다.
  • 즉, 컴퓨터 ↔ 라우터 ↔ 라우터 ↔ 컴퓨터 연결

https://blog.kakaocdn.net/dn/cvJRuj/btqJ4GwxUhl/SVvgQfle7Uf2p209hDjusk/img.png

💡 만약 집과 먼 다른 지역에는 어떻게 해야할까? 먼 곳까지 케이블이 닿지 않는 경우에는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가?
  • 이런 경우 모뎀을 이용하여 전세계 전화 시설에 네트워크 정보를 구축한다.

  • 컴퓨터 ↔ 라우터 ↔ 모뎀 ↔ 전화 시설

  • 네트워크를 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 (Internet Service Provider, ISP)에 연결한다.

     ex) **ISP = KT,SK 브로드밴드, LG U+를 의미**합니다.
  • ISP는 모두 함께 연결되는 몇몇 특수한 라우터를 관리하고 다른 ISP의 라우터에도 액세스 가능(접근 가능)함

  • 따라서 우리 네트워크의 메시지는 ISP 네트워크의 네트워크를 통해 대상 네트워크로 전달된다.

  • 인터넷은 이러한 전체 네트워크 인프라로 구성된다.

자료 출처: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c/c9/Client-server-model.svg

https://tcpschool.com/webbasic/intro

https://kkoon9.tistory.com/68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271913&cid=51207&categoryId=51207

https://codinghero.tistory.com/25

profile
달리는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