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 도커 소개

easyone·2024년 11월 5일
0

Docker

목록 보기
1/3

도커

도커는 컨테이너를 사용해서 응용프로그램 설치를 간단하게 할 수 있게 해주는, 컨테이너 기반의 가상화 도구이다.
도커 없이도 redis,mysql 등 설치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설치 과정에서 패키지 버전, OS에 따라 에러가 발생할 . 수 있기 때문에 설치 과정이 복잡하다. 도커를 사용하면 프로그램을 다운받는 과정이 간단해진다.

컨테이너

서버에서의 컨테이너 안에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과 실행환경을 추상화해준다. 컨테이너로 추상화하게 되면, 다양한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실행이 가능해진다. 컨테이너를 사용하면 프로그램의 배포 및 관리를 훨씬 단순하게 할 수 있다.

컨테이너 이미지

컨테이너 이미지는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설정, 종속성, 라이브러리 등을 포함하고 있다.
도커 컨테이너 이미지는 런타임에 도커 컨테이너가 되는 것이기 때문에 컨테이너는 이미지의 인스턴스라고 할 수 있다.
즉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설정이 포함되어 있는 도커 이미지를 통해 컨테이너가 생성되고, 컨테이너를 실행하면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이다.

가상화 기술

가상화 기술이 나오기 전에는 한대의 서버를 하나의 용도로만 사용했고, 공간이 남아도 여러 용도로 남은 공간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공간이 방치된다. 한대의 서버에 하나의 운영체제와 프로그램만 실행하기 때문에 안정적이지만 공간이 남을 경우 비효율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었다.

VM의 경우 호스트형 하이퍼 바이저인데, 호스트 OS 위에서 하이퍼 바이저를 실행해서 VM 내부의 게스트 OS에 하드웨어 자원을 애뮬레이트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하면 오버헤드가 크지만 OS 종류에 제한이 없어서 많이 사용하는 방식이다.

도커 사용 방법- 이미지 가져오기

docker run [image명]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면 도커 서버에 전달되고 이미지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

  • 로컬의 이미지 캐시 보관 장소에 해당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 로컬에 없다면 도커 허브에서 가져오기
    도커 허브에는 많은 이미지들을 보관하고 있는데, 로컬에 없을 경우 도커 허브에서 이미지를 pull해오게 된다.
profile
백엔드 개발자 지망 대학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