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장은 람다식과 관련된 방대한 내용을 설명한다.특히 람다식은 함수형 인터페이스, 메서드 참조, 그리고 (아직 교재에서 보여주진 않았지만) 스트림과의 긴밀한 연관을 갖고 있다.Java 를 이용해 개발하다 보면 동일한 코드를 반복적으로 사용 하거나, 코드의 핵심은 아니지
저번 글에서는 람다식과 함수형 인터페이스의 관계, Function Descriptor 를 알아보았다.
4 장은 스트림이 무엇인지, 핵심적인 개념은 어떤 것이 있는지 설명한다.스트림을 깊게 파고들기 전 개요와 필수 지식들을 알려주는 목적으로 4 장을 구성한 듯 하다.교재는 스트림을 “선언적 관리 방식의 데이터 처리 작업이 가능한 어느 일련의 원소들” 라고 정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