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에서 운영하는 데브코스에 참여한 지도 벌써 두 달이 지났습니다. 그동안 배운 내용도 인상 깊었지만, 특히 저번 주에 진행했던 프로젝트 과정이 기억에 남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 프로젝트를 돌아보며 좋았던 점, 아쉬웠던 점, 그리고 앞으로의 계획을 정리하
데브코스 1 차 프로젝트로 부터 1 개월 반이 지났습니다.그 동안 2 ∘ 3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 이번 포스팅에는 이를 회고하는 글을 적도록 하겠습니다.프로젝트 Repo - Java프로젝트 Repo - Kotlin프로젝트 Repo - Front이번에 진행한 프로젝트는
2024-07-15 - 2024-12-13 101 일.지난 주 금요일을 마지막으로 길면 길었던 데브코스 과정을 마무리 하였습니다.끝나고 돌아보니 만족스러웠던 부분, 아쉬웠던 부분 모두 또렷이 기억나네요.이번 포스팅은 그 모두를 기억하기 위해 마지막으로 진행했던 프로젝트
안녕하세요. 아직도 취준중인 백수, 청주는사과아님 입니다.이전 포스팅에서 Spring-data-jpa 의 Non-bean instance loaded to context 에러(https://velog.io/@jbw9964/Troubleshooting-Sprin
최근 친구의 부탁으로 임베디드 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아두이노 기반으로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데, 임베디드 개발 환경 특성상 정보가 부족한 경우가 많고, 실제 하드웨어 없이 사전에 기능을 구현해야 할 때도 많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VSCode 에서
최근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요청 ID 를 통해 로그를 추적 하고 싶은 욕망이 생겼습니다.사실 이는 이전 프로젝트에서도 작업한 내용인데, Logback 에 익숙치 않아 코드가 매우 더러워 마음이 편치 않았었습니다.MDC 로그 분리(https://velog.io/@
이전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Logback 으로 file-appender 를 구성한 경험이 있습니다. 하지만 Logback 에 익숙치 않아 코드가 매우 더러웠고, 무엇보다 Spring profile 에 따른 appender 변경이 불가능한 코드였습니다. 이전 프로젝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