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좋은 객체 지향 설계 라는건 잘 만들어서 유지보수가 쉬운 설계 라고 생각한다.강의에서는 다음 5 가지 원칙을 설명하고 있으며, 사실 이들의 내용은 그 명칭과 동치한다.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SRP)Open/Closed Princ
Github Repository 이번 섹션에서는 Spring 의 이점을 알아보기 위해 한 예제를 Java 로만 만들어 본다. I. 비즈니스 요구사항과 설계 회원가입하고 조회할 수 있다. 회원은 일반과 VIP 등급으로 나뉜다. 회원 데이터는 DB 든 In-memor
Github Repository강의를 수강하다 spring 이 bean 들의 role 을 구분하는 걸 알게 되었다. \[\[1]](Spring 의 BeanDefinition 을 보면 아래처럼 ROLE 이 정의되어 있다.간략하게 검색 \[\[2]](ROLE_APPLICA
Github Repository@ComponentScan 자체는 원래 알고 있던 내용이지만 basePackageClasses, Filter 등 몰랐던 내용이 있어 간단히 정리하고자 한다.일단 @ComponentScan 자체는 아래처럼 구성되어 있다.basePackage
Github Repository이번 섹션은 Spring 에서 가능한 DI 방법을 설명한다. 사실 이들은 이전에 전부 공부했던 내용이라 생략하려 했지만, 강의 도중에 아주 괜찮은 내용 2 가지가 있어 정리하고자 한다.Spring 을 사용할 때 종종 @Qualifier,
Github RepositoryBean Scope 는 이전에 공부하여 잘 알고 있었다.하지만 공부하면서도 "Prototype Bean Scope 을 잘 제공하는 방법이 없을까?" 하는 고민이 있었는데, 이번 강의에서 이를 정확하게 꼬집어 설명하기에 정리하고자 한다.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