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가지 애플리케이션 구조가 있지만, 가장 단순하면서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역할에 따라 3가지 계층으로 나누는 것 이다.
프레젠테이션 계층
서비스 계층
데이터 접근 계층
순수한 서비스 계층
여기서 가장 중요한 곳은 어디일까? 바로 핵심 비즈니스 로직이 들어있는 서비스 계층이다. 시간이 흘러서 UI(웹) 와 관련된 부분이 변하고, 데이터 저장 기술을 다른 기술로 변경해도, 비즈니스 로직은 최대한 변경없이 유지되어 야 한다.
이렇게 하려면 서비스 계층을 특정 기술에 종속적이지 않게 개발해야 한다.
이렇게 계층을 나눈 이유도 서비스 계층을 최대한 순수하게 유지하기 위한 목적이 크다. 기술에 종속적인 부 분은 프레젠테이션 계층, 데이터 접근 계층에서 가지고 간다.
프레젠테이션 계층은 클라이언트가 접근하는 UI와 관련된 기술인 웹, 서블릿, HTTP와 관련된 부분을 담당 해준다. 그래서 서비스 계층을 이런 UI와 관련된 기술로부터 보호해준다. 예를 들어서 HTTP API를 사용하 다가 GRPC 같은 기술로 변경해도 프레젠테이션 계층의 코드만 변경하고, 서비스 계층은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
데이터 접근 계층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술을 담당해준다. 그래서 JDBC, JPA와 같은 구체적인 데이터 접근 기술로부터 서비스 계층을 보호해준다. 예를 들어서 JDBC를 사용하다가 JPA로 변경해도 서 비스 계층은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 물론 서비스 계층에서 데이터 접근 계층을 직접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서비스 계층은 이 인터페이스에 의존하는 것이 좋다. 그래야 서비스 코드의 변경 없 이 JdbcRepository
를 JpaRepository
로 변경할 수 있다.
서비스 계층이 특정 기술에 종속되지 않기 때문에 비즈니스 로직을 유지보수 하기도 쉽고, 테스트 하기도 쉽다.
정리하자면 서비스 계층은 가급적 비즈니스 로직만 구현하고 특정 구현 기술에 직접 의존해서는 안된다. 이렇게 하면 향후 구현 기술이 변경될 때 변경의 영향 범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서비스 계층을 순수하게 유지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지금까지 개발한 MemberService
코드들을 살펴보자.
먼저 MemberServiceV1
코드를 살펴보자.MemberServiceV1
package hello.jdbc.service;
import java.sql.SQLException;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MemberServiceV1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V1 memberRepository;
public void accountTransfer(String fromId, String to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Member from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fromId);
Member to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toId);
memberRepository.update(fromId, fromMember.getMoney() - money);
memberRepository.update(toId, toMember.getMoney() + money);
}
}
MemberServiceV1
은 특정 기술에 종속적이지 않고, 순수한 비즈니스 로직만 존재한다. 하지만 트랜잭션이 적용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사실 여기에도 남은 문제가 있다.
SQLException
이라는 JDBC 기술에 의존한다는 점이다.
이 부분은memberRepository
에서 올라오는 예외이기 때문에 -memberRepository
에서 해결해야 한다. 이 부분은 뒤에서 예외를 다룰 때 알아보자.MemberRepositoryV1
이라는 구체 클래스에 직접 의존하고 있다.MemberRepository
인터페이스를 도 입하면 향후MemberService
의 코드의 변경 없이 다른 구현 기술로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트랜잭션을 적용한 MemberServiceV2
코드를 살펴보자.
MemberServiceV2
package hello.jdbc.service;
import javax.sql.DataSource;
import java.sql.Connection;
import java.sql.SQLException;
@Slf4j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MemberServiceV2 {
private final DataSource dataSource;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V2 memberRepository;
public void accountTransfer(String fromId, String to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Connection con = dataSource.getConnection();
try {
con.setAutoCommit(false); //트랜잭션 시작 //비즈니스 로직
bizLogic(con, fromId, toId, money); con.commit(); //성공시 커밋
} catch (Exception e) {
con.rollback(); //실패시 롤백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e);
} finally {
release(con);
} }
private void bizLogic(Connection con, String fromId, String to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Member from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con, fromId);
Member to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con, toId);
memberRepository.update(con, fromId, fromMember.getMoney() - money);
memberRepository.update(con, toId, toMember.getMoney() + money);
}
}
javax.sql.DataSource
, java.sql.Connection
,java.sql.SQLException
같은 JDBC 기술에 의존해야 한다는 점이다.트랜잭션이 시작하는 것과 rollback, release이러한 것들이 노출되어 있고 이런 서비스가 1조개인데 수정해야한다면 모든 코드를 다 수정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생길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가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의 문제점은 크게 3가지이다.
정리하면 JDBC 코드가 서비스 계층에 노출이 됐고 이것이 반복이 심하다는 것이다.
예외 누수
SQLException
은 체크 예외이기 때문에 데이터 접근 계층을 호출한 서비스 계층에서 해당 예외를 잡아서 처리 하거나 명시적으로 throws
를 통해서 다시 밖으로 던져야한다.SQLException
은 JDBC 전용 기술이다. 향후 JPA나 다른 데이터 접근 기술을 사용하면, 그에 맞는 다른 예외 로 변경해야 하고, 결국 서비스 코드도 수정해야 한다.JDBC 반복 문제
MemberRepository
코드는 순수한 JDBC를 사용했다.try
, catch
, finally
...PreparedStatement
를 사용하고, 결과를 매핑하고... 실행하고, 커넥션과 리소스를 정리한다.스프링과 문제 해결
스프링은 서비스 계층을 순수하게 유지하면서, 지금까지 이야기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과 기술들을 제공한다.
지금부터 스프링을 사용해서 애플리케이션이 가진 문제들을 하나씩 해결해보자.
현재 서비스 계층은 트랜잭션을 사용하기 위해서 JDBC 기술에 의존하고 있다. 향후 JDBC에서 JPA 같은 다른 데이터 접근 기술로 변경하면, 서비스 계층의 트랜잭션 관련 코드도 모두 함께 수정해야 한다.
구현 기술에 따른 트랜잭션 사용법
con.setAutoCommit(false)
transaction.begin()
JDBC 트랜잭션 코드 예시**
public void accountTransfer(String fromId, String to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Connection con = dataSource.getConnection();
try {
con.setAutoCommit(false); //트랜잭션 시작 //비즈니스 로직
bizLogic(con, fromId, toId, money); con.commit(); //성공시 커밋
} catch (Exception e) {
con.rollback(); //실패시 롤백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e);
} finally {
release(con);
}
JPA 트랜잭션 코드 예시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엔티티 매니저 팩토리 생성
EntityManagerFactory emf =
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jpabook");
EntityManager em = emf.createEntityManager(); //엔티티 매니저 생성 EntityTransaction tx = em.getTransaction(); //트랜잭션 기능 획득
try {
tx.begin(); //트랜잭션 시작 logic(em); //비즈니스 로직 tx.commit();//트랜잭션 커밋
} catch (Exception e) { tx.rollback(); //트랜잭션 롤백
} finally {
em.close(); //엔티티 매니저 종료
}
emf.close(); //엔티티 매니저 팩토리 종료 }
이렇게 JDBC 기술을 사용하다가 JPA 기술로 변경하게 되면 서비스 계층의 코드도 JPA 기술을 사용하도록 함께 수정 해야 한다.
아래 그림으로보자
트랜잭션 추상화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트랜잭션 기능을 추상화하면 된다.
아주 단순하게 생각하면 다음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만들어서 사용하면 된다.
트랜잭션 추상화 인터페이스
public interface TxManager {
begin();
commit();
rollback();
}
트랜잭션은 사실 단순하다.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비즈니스 로직의 수행이 끝나면 커밋하거나 롤백하면 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TxManager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각각의 기술에 맞는 구현체를 만들면 된다.
JdbcTxManager
: JDBC 트랜잭션 기능을 제공하는 구현체
JpaTxManager
: JPA 트랜잭션 기능을 제공하는 구현체
서비스는 특정 트랜잭션 기술에 직접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TxManager
라- 는 추상화된 인터페이스에 의존한다. 이제 원하는 구현체를 DI를 통해서 주입하면 된다. 예를 들어서 JDBC 트랜잭션 기능이 필요하면
JdbcTxManager
를 서비스에 주입하고, JPA 트랜잭션 기능으로 변경해야 하면 JpaTxManager
를 주입하면 된다.
스프링은 이미 이런 고민을 다 해두었다. 우리는 스프링이 제공하는 트랜잭션 추상화 기술을 사용하면 된다. 심지어 데 이터 접근 기술에 따른 트랜잭션 구현체도 대부분 만들어두어서 가져다 사용하기만 하면 된다.
스프링 5.3부터는 JDBC 트랜잭션을 관리할 때
DataSourceTransactionManager
를 상속받아서 약간의 기능을 확장한JdbcTransactionManager
를 제공한다. 둘의 기능 차이는 크지 않으므로 같은 것으로 이해하 면 된다.
PlatformTransactionManager 인터페이스
package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
public interface PlatformTransactionManager extends TransactionManager {
TransactionStatus getTransaction(@Nullable TransactionDefinition definition)
throws TransactionException;
void commit(TransactionStatus status) throws TransactionException;
void rollback(TransactionStatus status) throws TransactionException;
}
getTransaction()
: 트랜잭션을 시작한다.getTransaction()
인 이유는 기존에 이미 진행중인 트랜잭션이 있는 경우 해당 트랜잭션에 참 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commit()
: 트랜잭션을 커밋한다.rollback()
: 트랜잭션을 롤백한다.스프링이 제공하는 트랜잭션 매니저는 크게 2가지 역할을 한다.
트랜잭션 추상화
트랜잭션 기술을 추상화 하는 부분은 앞에서 설명했다.
리소스 동기화
트랜잭션을 유지하려면 트랜잭션의 시작부터 끝까지 같은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을 유지해아한다. 결국 같은 커넥션을 동 기화(맞추어 사용)하기 위해서 이전에는 파라미터로 커넥션을 전달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파라미터로 커넥션을 전달하는 방법은 코드가 지저분해지는 것은 물론이고, 커넥션을 넘기는 메서드와 넘기지 않는 메서드를 중복해서 만들어야 하는 등 여러가지 단점들이 많다.
커넥션과 세션
트랜잭션 매니저와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
ThreadLocal
)을 사용해서 커넥션을 동기 화해준다. 트랜잭션 매니저는 내부에서 이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를 사용한다.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
다음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 클래스를 열어보면 쓰레드 로컬을 사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support.TransactionSynchronizationManager
쓰레드 로컬을 사용하면 각각의 쓰레드마다 별도의 저장소가 부여된다. 따라서 해당 쓰레드만 해당 데이터에 접근 할 수 있다.
-> 그래서 동시에 같은 커넥션을 이용할 걱정은 안해도된다.
이제 본격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코드에 트랜잭션 매니저를 적용해보자.
Repository
@Slf4j
public class MemberRepositoryV3 {
private final DataSource dataSource;
public MemberRepositoryV3(DataSource dataSource) {
this.dataSource = dataSource;
}
public Member save(Member member) throws SQLException {
String sql = "insert into member(member_id, money) values (?, ?)";
Connection con = null;
PreparedStatement pstmt = null;
try {
con = getConnection();
pstmt = con.prepareStatement(sql);
pstmt.setString(1, member.getMemberId());
pstmt.setInt(2, member.getMoney());
pstmt.executeUpdate();
return member;
} catch (SQLException e) {
log.error("db error", e);
throw e;
} finally {
close(con, pstmt, null);
}
}
public Member findById(String memberId) throws SQLException {
String sql = "select * from member where member_id = ?";
Connection con = null;
PreparedStatement pstmt = null;
ResultSet rs = null;
try {
con = getConnection();
pstmt = con.prepareStatement(sql);
pstmt.setString(1, memberId);
rs = pstmt.executeQuery();
if (rs.next()) {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MemberId(rs.getString("member_id"));
member.setMoney(rs.getInt("money"));
return member;
} else {
throw new NoSuchElementException("member not found memberId=" + memberId);
}
} catch (SQLException e) {
log.error("db error", e);
throw e;
} finally {
close(con, pstmt, rs);
}
}
public void update(String member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String sql = "update member set money=? where member_id=?";
Connection con = null;
PreparedStatement pstmt = null;
try {
con = getConnection();
pstmt = con.prepareStatement(sql);
pstmt.setInt(1, money);
pstmt.setString(2, memberId);
int resultSize = pstmt.executeUpdate();
log.info("resultSize={}", resultSize);
} catch (SQLException e) {
log.error("db error", e);
throw e;
} finally {
close(con, pstmt, null);
}
}
public void delete(String memberId) throws SQLException {
String sql = "delete from member where member_id=?";
Connection con = null;
PreparedStatement pstmt = null;
try {
con = getConnection();
pstmt = con.prepareStatement(sql);
pstmt.setString(1, memberId);
pstmt.executeUpdate();
} catch (SQLException e) {
log.error("db error", e);
throw e;
} finally {
close(con, pstmt, null);
}
}
private void close(Connection con, Statement stmt, ResultSet rs) {
JdbcUtils.closeResultSet(rs);
JdbcUtils.closeStatement(stmt);
//주의! 트랜잭션 동기화를 사용하려면 DataSourceUtils를 사용해야 한다.
DataSourceUtils.releaseConnection(con, dataSource);
}
private Connection getConnection() throws SQLException {
//주의! 트랜잭션 동기화를 사용하려면 DataSourceUtils를 사용해야 한다.
Connection con = DataSourceUtils.getConnection(dataSource);
log.info("get connection={}, class={}", con, con.getClass());
return con;
}
}
Service
@Slf4j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MemberServiceV3_1 {
private final PlatformTransactionManager transactionManager;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V3 memberRepository;
public void accountTransfer(String fromId, String to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트랜잭션 시작
TransactionStatus status = transactionManager.getTransaction(new DefaultTransactionDefinition());
try {
//비즈니스 로직
bizLogic(fromId, toId, money);
transactionManager.commit(status); //성공시 커밋
} catch (Exception e) {
transactionManager.rollback(status); //실패시 롤백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e);
}
}
private void bizLogic(String fromId, String to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Member from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fromId);
Member to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toId);
memberRepository.update(fromId, fromMember.getMoney() - money);
validation(toMember);
memberRepository.update(toId, toMember.getMoney() + money);
}
private void validation(Member toMember) {
if (toMember.getMemberId().equals("ex"))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이체중 예외 발생");
}
}
}
먼저 Service에서 트랜젝션을 시작한다.
TransactionStatus status = transactionManager.getTransaction(new DefaultTransactionDefinition());
그럼 이제 트랜젝션 매니저를 통해 데이터 소스를 받은 커넥션이 생성된다.
그리고 이 커넥션은 DataSourceUtils이라는 트랙젠션 동기화 매니저에 의해서 관리된다.
그럼 우리는 Repository에서 한 태스크를 수행한 뒤
DataSourceUtils.releaseConnection(con, dataSource);
으로 다시 동기화 매니저에 넣어준다.
그리고 commit이나 rollback으로 트랜젝션을 종료할 때 커넥션이 관리되는 쓰레드, 커넥션 등이 다 종료된다.
Test
class MemberServiceV3_1Test {
public static final String MEMBER_A = "memberA";
public static final String MEMBER_B = "memberB";
public static final String MEMBER_EX = "ex";
private MemberRepositoryV3 memberRepository;
private MemberServiceV3_1 memberService;
@BeforeEach
void before() {
DriverManagerDataSource dataSource = new DriverManagerDataSource(URL, USERNAME, PASSWORD);
memberRepository = new MemberRepositoryV3(dataSource);
PlatformTransactionManager transactionManager = new DataSourceTransactionManager(dataSource);
memberService = new MemberServiceV3_1(transactionManager, memberRepository);
}
@AfterEach
void after() throws SQLException {
memberRepository.delete(MEMBER_A);
memberRepository.delete(MEMBER_B);
memberRepository.delete(MEMBER_EX);
}
@Test
@DisplayName("정상 이체")
void accountTransfer() throws SQLException {
//given
Member memberA = new Member(MEMBER_A, 10000);
Member memberB = new Member(MEMBER_B, 10000);
memberRepository.save(memberA);
memberRepository.save(memberB);
//when
memberService.accountTransfer(memberA.getMemberId(), memberB.getMemberId(), 2000);
//then
Member findMemberA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A.getMemberId());
Member findMemberB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B.getMemberId());
assertThat(findMemberA.getMoney()).isEqualTo(8000);
assertThat(findMemberB.getMoney()).isEqualTo(12000);
}
@Test
@DisplayName("이체중 예외 발생")
void accountTransferEx() throws SQLException {
//given
Member memberA = new Member(MEMBER_A, 10000);
Member memberEx = new Member(MEMBER_EX, 10000);
memberRepository.save(memberA);
memberRepository.save(memberEx);
//when
assertThatThrownBy(() -> memberService.accountTransfer(memberA.getMemberId(), memberEx.getMemberId(), 2000))
.isInstanceOf(IllegalStateException.class);
//then
Member findMemberA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A.getMemberId());
Member findMemberB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Ex.getMemberId());
assertThat(findMemberA.getMoney()).isEqualTo(10000);
assertThat(findMemberB.getMoney()).isEqualTo(10000);
}
}
테스트 시
new DataSourceTransactionManager(dataSource)
JDBC 기술을 사용하므로, JDBC용 트랜잭션 매니저(DataSourceTransactionManager
)를 선택해 서 서비스에 주입한다.
트랜잭션 매니저는 데이터소스를 통해 커넥션을 생성하므로DataSource
가 필요하다.
그림으로 트랜잭션 매니저의 전체 동작 흐름을 자세히 이해해보자.
트랜잭션 매니저1 - 트랜잭션 시작
클라이언트의 요청으로 서비스 로직을 실행한다.
1. 서비스 계층에서 transactionManager.getTransaction()
을 호출해서 트랜잭션을 시작한다.
2. 트랜잭션을 시작하려면 먼저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이 필요하다. 트랜잭션 매니저는 내부에서 데이터소스를 사용해
서 커넥션을 생성한다.
3. 커넥션을 수동 커밋 모드로 변경해서 실제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을 시작한다.
4. 커넥션을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에 보관한다.
5.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는 쓰레드 로컬에 커넥션을 보관한다. 따라서 멀티 쓰레드 환경에 안전하게 커넥션을 보관
할 수 있다.
트랜잭션 매니저2 - 로직 실행
6. 서비스는 비즈니스 로직을 실행하면서 리포지토리의 메서드들을 호출한다. 이때 커넥션을 파라미터로 전달하지 않는다.
7. 리포지토리 메서드들은 트랜잭션이 시작된 커넥션이 필요하다. 리포지토리는 DataSourceUtils.getConnection()
을 사용해서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에 보관된 커넥션을 꺼내서 사
용한다. 이 과정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같은 커넥션을 사용하고, 트랜잭션도 유지된다.
8. 획득한 커넥션을 사용해서 SQL을 데이터베이스에 전달해서 실행한다.
트랜잭션 매니저3 - 트랜잭션 종료
9. 비즈니스 로직이 끝나고 트랜잭션을 종료한다. 트랜잭션은 커밋하거나 롤백하면 종료된다.
10. 트랜잭션을 종료하려면 동기화된 커넥션이 필요하다.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를 통해 동기화된 커넥션을 획득한
다.
11. 획득한 커넥션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트랜잭션을 커밋하거나 롤백한다.
12. 전체 리소스를 정리한다.
con.setAutoCommit(true)
로 되돌린다. 커넥션 풀을 고려해야 한다.con.close()
를 호출해셔 커넥션을 종료한다. 커넥션 풀을 사용하는 경우 con.close()
를 호출하면커넥션 풀에 반환된다.정리
DataSourceTransactionManager
에서JpaTransactionManager
로 변경해주면 된다.java.sql.SQLException
이 아직 남아있지만 이 부분은 뒤에 예외 문제에서 해결하자.트랜잭션을 사용하는 로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패턴이 반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트랜잭션 사용 코드
//트랜잭션 시작
TransactionStatus status = transactionManager.getTransaction(new DefaultTransactionDefinition());
try {
//비즈니스 로직
bizLogic(fromId, toId, money);
transactionManager.commit(status); //성공시 커밋
} catch (Exception e) {
transactionManager.rollback(status); //실패시 롤백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e);
}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비즈니스 로직을 실행하고, 성공하면 커밋하고, 예외가 발생해서 실패하면 롤백한다.
다른 서비스에서 트랜잭션을 시작하려면 try
, catch
, finally
를 포함한 성공시 커밋, 실패시 롤백 코드가 반복될 것이다.
이런 형태는 각각의 서비스에서 반복된다. 달라지는 부분은 비즈니스 로직 뿐이다.
이럴 때 템플릿 콜백 패턴을 활용하면 이런 반복 문제를 깔끔하게 해결할 수 있다.
트랜잭션 템플릿
템플릿 콜백 패턴을 적용하려면 템플릿을 제공하는 클래스를 작성해야 하는데, 스프링은 TransactionTemplate
라 는 템플릿 클래스를 제공한다.
트랜젝션 템플릿 적용
@Slf4j
public class MemberServiceV3_2 {
private final TransactionTemplate txTemplate;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V3 memberRepository;
public MemberServiceV3_2(PlatformTransactionManager transactionManager, MemberRepositoryV3 memberRepository) {
this.txTemplate = new TransactionTemplate(transactionManager);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
public void accountTransfer(String fromId, String to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txTemplate.executeWithoutResult((status) -> {
//비즈니스 로직
try {
bizLogic(fromId, toId, money);
} catch (SQLException e)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e);
}
});
}
private void bizLogic(String fromId, String to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Member from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fromId);
Member to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toId);
memberRepository.update(fromId, fromMember.getMoney() - money);
validation(toMember);
memberRepository.update(toId, toMember.getMoney() + money);
}
private void validation(Member toMember) {
if (toMember.getMemberId().equals("ex"))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이체중 예외 발생");
}
}
}
TransactionTemplate
을 사용하려면 transactionManager
가 필요하다. 생성자에서 transactionManager
를 주입 받으면서 TransactionTemplate
을 생성했다.
TransactionTemplate 자체를 DI로 주입받을 수 있지만 유연성이 떨어진다.
public void accountTransfer(String fromId, String to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txTemplate.executeWithoutResult((status) -> {
//비즈니스 로직
try {
bizLogic(fromId, toId, money);
} catch (SQLException e)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e);
}
});
}
위 부분에서 람다식으로 반환값이 없으니 executeWithoutResult(status)를 사용한다.
try~catch
가 들어갔는데, bizLogic()
메서드를 호출하면 SQLException
체크 예외를 넘겨준다. 해당 람다에서 체크 예외를 밖으로 던질 수 없기 때문에 언체크 예외로MemberServiceV3_2Test
class MemberServiceV3_2Test {
public static final String MEMBER_A = "memberA";
public static final String MEMBER_B = "memberB";
public static final String MEMBER_EX = "ex";
private MemberRepositoryV3 memberRepository;
private MemberServiceV3_2 memberService;
@BeforeEach
void before() {
DriverManagerDataSource dataSource = new DriverManagerDataSource(URL, USERNAME, PASSWORD);
memberRepository = new MemberRepositoryV3(dataSource);
PlatformTransactionManager transactionManager = new DataSourceTransactionManager(dataSource);
memberService = new MemberServiceV3_2(transactionManager, memberRepository);
}
@AfterEach
void after() throws SQLException {
memberRepository.delete(MEMBER_A);
memberRepository.delete(MEMBER_B);
memberRepository.delete(MEMBER_EX);
}
@Test
@DisplayName("정상 이체")
void accountTransfer() throws SQLException {
//given
Member memberA = new Member(MEMBER_A, 10000);
Member memberB = new Member(MEMBER_B, 10000);
memberRepository.save(memberA);
memberRepository.save(memberB);
//when
memberService.accountTransfer(memberA.getMemberId(), memberB.getMemberId(), 2000);
//then
Member findMemberA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A.getMemberId());
Member findMemberB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B.getMemberId());
assertThat(findMemberA.getMoney()).isEqualTo(8000);
assertThat(findMemberB.getMoney()).isEqualTo(12000);
}
@Test
@DisplayName("이체중 예외 발생")
void accountTransferEx() throws SQLException {
//given
Member memberA = new Member(MEMBER_A, 10000);
Member memberEx = new Member(MEMBER_EX, 10000);
memberRepository.save(memberA);
memberRepository.save(memberEx);
//when
assertThatThrownBy(() -> memberService.accountTransfer(memberA.getMemberId(), memberEx.getMemberId(), 2000))
.isInstanceOf(IllegalStateException.class);
//then
Member findMemberA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A.getMemberId());
Member findMemberB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Ex.getMemberId());
assertThat(findMemberA.getMoney()).isEqualTo(10000);
assertThat(findMemberB.getMoney()).isEqualTo(10000);
}
}
Service에서 트랜젝션 템플릿을 DI 받은 transactionManager를 사용해서 직접 생성하고 있기 때문에 테스트 코드가 딱히 바뀔 이유가 없다.
정리
프록시 도입 전
프록시를 도입하기 전에는 기존처럼 서비스의 로직에서 트랜잭션을 직접 시작한다.
프록시 도입 후
프록시를 사용하면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객체와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서비스 객체를 명확하게 분리할 수 있다.
트랜잭션 프록시 코드 예시
public class TransactionProxy {
private MemberService target;
public void logic() { //트랜잭션 시작
TransactionStatus status = transactionManager.getTransaction(..);
try {
//실제 대상 호출
target.logic(); transactionManager.commit(status); //성공시 커밋
} catch (Exception e) { transactionManager.rollback(status); //실패시 롤백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e);
} }
}
트랜잭션 프록시 적용 후 서비스 코드 예시
public class Service {
public void logic() {
//트랜잭션 관련 코드 제거, 순수 비즈니스 로직만 남음
bizLogic(fromId, toId, money);
}
}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만 붙여주면 된다. 스프링의 트랜잭션 AOP는 이 애노테이션을 인식해서 트랜잭션 프록시를 적용해준다.@Transactional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스프링 AOP를 적용하려면 어드바이저, 포인트컷, 어드바이스가 필요하다. 스프링은 트랜잭션 AOP 처리를 위해 다음 클래스를 제공한다. 스프링 부트를 사용하면 해당 빈들은 스프링 컨테이너에 자동으로 등록된다.
어드바이저:BeanFactoryTransactionAttributeSourceAdvisor
포인트컷:TransactionAttributeSourcePointcut
어드바이스:TransactionInterceptor
트랜잭션 AOP를 사용하는 새로운 서비스 클래스를 만들자.
@Slf4j
public class MemberServiceV3_3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V3 memberRepository;
public MemberServiceV3_3(MemberRepositoryV3 memberRepositor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
@Transactional
public void accountTransfer(String fromId, String to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bizLogic(fromId, toId, money);
}
private void bizLogic(String fromId, String to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Member from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fromId);
Member to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toId);
memberRepository.update(fromId, fromMember.getMoney() - money);
validation(toMember);
memberRepository.update(toId, toMember.getMoney() + money);
}
private void validation(Member toMember) {
if (toMember.getMemberId().equals("ex"))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이체중 예외 발생");
}
}
}
이제 끝이다.
@Transactional을 비즈니스 로직이 수행되는 메서드에 붙이니 트랜젝션 관련 코드들이 전부 삭제되었다.
이제 테스트를 해보자
이전에 테스트를 진행했을 때는 스프링 컨테이너를 사용하지 않고 Template에 Manager도 직접 생성해서 넣어주고 DataSource도 직접 생성해서 사용했다.
하지만 이제 @Transactional으로 모두 해결하게 되면서 스프링 부트의 도움을 받아야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Slf4j
@SpringBootTest
class MemberServiceV3_3Test {
public static final String MEMBER_A = "memberA";
public static final String MEMBER_B = "memberB";
public static final String MEMBER_EX = "ex";
@Autowired
private MemberRepositoryV3 memberRepository;
@Autowired
private MemberServiceV3_3 memberService;
@TestConfiguration
static class TestConfig {
@Bean
DataSource dataSource() {
return new DriverManagerDataSource(URL, USERNAME, PASSWORD);
}
@Bean
PlatformTransactionManager transactionManager() {
return new DataSourceTransactionManager(dataSource());
}
@Bean
MemberRepositoryV3 memberRepositoryV3() {
return new MemberRepositoryV3(dataSource());
}
@Bean
MemberServiceV3_3 memberServiceV3_3() {
return new MemberServiceV3_3(memberRepositoryV3());
}
}
@AfterEach
void after() throws SQLException {
memberRepository.delete(MEMBER_A);
memberRepository.delete(MEMBER_B);
memberRepository.delete(MEMBER_EX);
}
@Test
void AopCheck() {
log.info("memberService class={}", memberService.getClass());
log.info("memberRepository class={}", memberRepository.getClass());
Assertions.assertThat(AopUtils.isAopProxy(memberService)).isTrue();
Assertions.assertThat(AopUtils.isAopProxy(memberRepository)).isFalse();
}
@Test
@DisplayName("정상 이체")
void accountTransfer() throws SQLException {
//given
Member memberA = new Member(MEMBER_A, 10000);
Member memberB = new Member(MEMBER_B, 10000);
memberRepository.save(memberA);
memberRepository.save(memberB);
//when
memberService.accountTransfer(memberA.getMemberId(), memberB.getMemberId(), 2000);
//then
Member findMemberA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A.getMemberId());
Member findMemberB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B.getMemberId());
assertThat(findMemberA.getMoney()).isEqualTo(8000);
assertThat(findMemberB.getMoney()).isEqualTo(12000);
}
@Test
@DisplayName("이체중 예외 발생")
void accountTransferEx() throws SQLException {
//given
Member memberA = new Member(MEMBER_A, 10000);
Member memberEx = new Member(MEMBER_EX, 10000);
memberRepository.save(memberA);
memberRepository.save(memberEx);
//when
assertThatThrownBy(() -> memberService.accountTransfer(memberA.getMemberId(), memberEx.getMemberId(), 2000))
.isInstanceOf(IllegalStateException.class);
//then
Member findMemberA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A.getMemberId());
Member findMemberB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Ex.getMemberId());
assertThat(findMemberA.getMoney()).isEqualTo(10000);
assertThat(findMemberB.getMoney()).isEqualTo(10000);
}
}
@SpringBootTest를 붙여주고 @Configuration을 만든다.
@SpringBootTest
: 스프링 AOP를 적용하려면 스프링 컨테이너가 필요하다. 이 애노테이션이 있으면 테스트 시 스프링 부트를 통해 스프링 컨테이너를 생성한다. 그리고 테스트에서 @Autowired
등을 통해 스프링 컨테이 너가 관리하는 빈들을 사용할 수 있다.@TestConfiguration
: 테스트 안에서 내부 설정 클래스를 만들어서 사용하면서 이 에노테이션을 붙이면, 스 프링 부트가 자동으로 만들어주는 빈들에 추가로 필요한 스프링 빈들을 등록하고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TestConfig
DataSource
스프링에서 기본으로 사용할 데이터소스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한다. 추가로 트랜잭션 매니 저에서도 사용한다.DataSourceTransactionManager
트랜잭션 매니저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한다.스프링이 제공하는 트랜잭션 AOP는 스프링 빈에 등록된 트랜잭션 매니저를 찾아서 사용하기 때문에 트랜잭션 매니저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해두어야 한다.
AOP 프록시 적용 확인
@Test
void AopCheck() {
log.info("memberService class={}", memberService.getClass());
log.info("memberRepository class={}", memberRepository.getClass());
Assertions.assertThat(AopUtils.isAopProxy(memberService)).isTrue();
Assertions.assertThat(AopUtils.isAopProxy(memberRepository)).isFalse();
}
AopCheck()
의 실행 결과를 보면 memberService
에 EnhancerBySpringCGLIB..
라는 부분을 통해 프록시(CGLIB)가 적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memberRepository
에는 AOP를 적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프록시가 적용되지 않는다.트랜잭션 AOP가 사용된 전체 흐름을 그림으로 정리해보자.
트랜잭션 AOP 적용 전체 흐름
선언적 트랜잭션 관리 vs 프로그래밍 방식 트랜잭션 관리
선언적 트랜잭션 관리(Declarative Transaction Management)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 하나만 선언해서 매우 편리하게 트랜잭션을 적용하는 것을 선언적 트랜잭 션 관리라 한다.프로그래밍 방식의 트랜잭션 관리(programmatic transaction management)
선언적 트랜잭션 관리가 프로그래밍 방식에 비해서 훨씬 간편하고 실용적이기 때문에 실무에서는 대부분 선언적 트랜잭션 관리를 사용한다.
프로그래밍 방식의 트랜잭션 관리는 스프링 컨테이너나 스프링 AOP 기술 없이 간단히 사용할 수 있지만 실무에서는 대부분 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AOP를 사용하기 때문에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프로그래밍 방식 트랜잭션 관리는 테스트 시에 가끔 사용될 때는 있다.
정리
@Transactional
애노테이션 하나만 추가하면 된다. 나머지는 스프링 트랜 잭션 AOP가 자동으로 처리해준다.스프링 부트가 등장하기 이전에는 데이터소스와 트랜잭션 매니저를 개발자가 직접 스프링 빈으로 등록해서 사용했다. 그런데 스프링 부트로 개발을 시작한 개발자라면 데이터소스나 트랜잭션 매니저를 직접 등록한 적이 없을 것이다.
이 부분을 잠시 살펴보자.
데이터소스와 트랜잭션 매니저를 스프링 빈으로 직접 등록
@Bean
DataSource dataSource() {
return new DriverManagerDataSource(URL, USERNAME, PASSWORD);
}
@Bean
PlatformTransactionManager transactionManager() {
return new DataSourceTransactionManager(dataSource());
}
}
기존에는 이렇게 데이터소스와 트랜잭션 매니저를 직접 스프링 빈으로 등록해야 했다. 그런데 스프링 부트가 나오면서 많은 부분이 자동화되었다. (더 오래전에 스프링을 다루어왔다면 해당 부분을 주로 XML로 등록하고 관리했을 것이다.)
데이터소스 - 자동 등록
DataSource
)를 스프링 빈에 자동으로 등록한다. dataSource
참고로 개발자가 직접 데이터소스를 빈으로 등록하면 스프링 부트는 데이터소스를 자동으로 등록하지 않는다.
이때 스프링 부트는 다음과 같이 application.properties
에 있는 속성을 사용해서 DataSource
를 생성한다.
그리고 스프링 빈에 등록한다.
application.properties
spring.datasource.url=jdbc:h2:tcp://localhost/~/test
spring.datasource.username=sa
spring.datasource.password=
HikariDataSource
이다.application.properties
를 통해서 지정할 수 있다.spring.datasource.url
속성이 없으면 내장 데이터베이스(메모리 DB)를 생성하려고 시도한다.트랜잭션 매니저 - 자동 등록
PlatformTransactionManager
)를 자동으로 스프링 빈에 등록한 다.transactionManager
참고로 개발자가 직접 트랜잭션 매니저를 빈으로 등록하면 스프링 부트는 트랜잭션 매니저를 자동으로 등록하지 않는다.
어떤 트랜잭션 매니저를 선택할지는 현재 등록된 라이브러리를 보고 판단하는데, JDBC를 기술을 사용하면 DataSourceTransactionManager
를 빈으로 등록하고, JPA를 사용하면 JpaTransactionManager
를 빈으로 등록한다. 둘다 사용하는 경우 JpaTransactionManager
를 등록한다. 참고로 JpaTransactionManager
는 DataSourceTransactionManager
가 제공하는 기능도 대부분 지원한다.
@Slf4j
@SpringBootTest
class MemberServiceV4Test {
public static final String MEMBER_A = "memberA";
public static final String MEMBER_B = "memberB";
public static final String MEMBER_EX = "ex";
@Autowired
private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Autowired
private MemberServiceV4 memberService;
@TestConfiguration
static class TestConfig {
//@Autowired
private final DataSource dataSource;
public TestConfig(DataSource dataSource) {
this.dataSource = dataSource;
}
@Bean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 return new MemberRepositoryV4_1(dataSource);
// return new MemberRepositoryV4_2(dataSource);
return new MemberRepositoryV5(dataSource);
}
@Bean
MemberServiceV4 memberServiceV4() {
return new MemberServiceV4(memberRepository());
}
}
@AfterEach
void after() {
memberRepository.delete(MEMBER_A);
memberRepository.delete(MEMBER_B);
memberRepository.delete(MEMBER_EX);
}
@Test
void AopCheck() {
log.info("memberService class={}", memberService.getClass());
log.info("memberRepository class={}", memberRepository.getClass());
Assertions.assertThat(AopUtils.isAopProxy(memberService)).isTrue();
Assertions.assertThat(AopUtils.isAopProxy(memberRepository)).isFalse();
}
@Test
@DisplayName("정상 이체")
void accountTransfer() {
//given
Member memberA = new Member(MEMBER_A, 10000);
Member memberB = new Member(MEMBER_B, 10000);
memberRepository.save(memberA);
memberRepository.save(memberB);
//when
memberService.accountTransfer(memberA.getMemberId(), memberB.getMemberId(), 2000);
//then
Member findMemberA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A.getMemberId());
Member findMemberB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B.getMemberId());
assertThat(findMemberA.getMoney()).isEqualTo(8000);
assertThat(findMemberB.getMoney()).isEqualTo(12000);
}
@Test
@DisplayName("이체중 예외 발생")
void accountTransferEx() {
//given
Member memberA = new Member(MEMBER_A, 10000);
Member memberEx = new Member(MEMBER_EX, 10000);
memberRepository.save(memberA);
memberRepository.save(memberEx);
//when
assertThatThrownBy(() -> memberService.accountTransfer(memberA.getMemberId(), memberEx.getMemberId(), 2000))
.isInstanceOf(IllegalStateException.class);
//then
Member findMemberA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A.getMemberId());
Member findMemberB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Ex.getMemberId());
assertThat(findMemberA.getMoney()).isEqualTo(10000);
assertThat(findMemberB.getMoney()).isEqualTo(10000);
}
자세한 설정 속성은 다음을 참고하자.
https://docs.spring.io/spring-boot/docs/current/reference/html/application-properties.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