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42 (2020.09.15) JS

백은진·2020년 9월 18일
0

TIL (Today I Learned)

목록 보기
42/106

오늘은 자바스크립트에 대해 복습하는 시간을 가졌다.

분명 2번씩 강의를 보고 공부하고 연습한 것들인데, 다시 한 번 공부를 하니 개념이 또 새롭게 다가온다.

아마 이전에 공부할 때는 내가 가진 개념으로 1/3 정도만 이해했다면,
지금은 2/3 정도를 이해해서 새롭게 다가오는 것 같다.

[JS]

JS는 웹 페이지와 상호작용하도록 만들어진 언어로 동적언어이다.

프론트엔드 개발자의 가장 큰 역할은 이 JS를 이용해서 웹페이지를 역동적이고 쌍방향적으로 만드는 것이다.

JS 실행을 위해서는 브라우저와 HTML 파일, HTML 파일 내 JS 파일을 연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주석]

주석을 선호하는 개발자도, 선호하지 않는 개발자도 있다.

그러나 초보 개발자는
좋은 예제의 코드를 분석하면서 주석을 달고 코드를 이해하며 공부하는 것이 좋은 것 같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정리되지 않은 생각들이 머리속에서 뒤섞이기 때문에 깔끔하게 코드를 작성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함수]

모든 함수는 return을 한다.
return 키워드가 생략된 함수도 무언가는 반환을 한다.

따라서 함수는 언제나 데이터를 return 하기 때문에, 그 결과를 변수에 저장하거나 다른 로직에 재사용할 수 있다.

let 변수이름 = 함수이름(); // 이미 선언된 함수를 호출해서 변수에 저장한 것
console.log(변수이름);

console.log(함수이름()); // log에 함수를 담아 확인하는 방법

parameter를 이용해서 return 값을 여러개로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자주 사용하는 반환값은 아래와 같이 변수(var, let, const)에 담아 재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let result1 = getName(‘개발자’);

이 때, name 자리에 들어간 ‘개발자’는 실질적인 값으로서 argument라고 불린다.

[함수에서 주의할 점!]

변수를 재이용해서 수식을 거는 일은, 그 변수 자체의 값도 변경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유의해서 이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코드가 있다.

let num = 1;
let newNum = num++;
console.log(num);
console.log(newNum);

각 1, 2가 출력될 것이라 예상했다.

그러나 실제 출력값은 2, 1이다.

왜냐하면, 컴퓨터는 다음과 같이 계산을 실행하기 때문이다.

let num = 1;
let newNum = num;
num++;

그러나 아래같이 증가식을 입력하면 계산 실행순서는 그 다음 예시대로 진행된다.

let num = 1;
let newNum = ++num;
console.log(num);
console.log(newNum);
let num = 1;
num++;
let newNum = num;

따라서 결과값은 2, 2가 된다.

profile
💡 Software Engineer - F.E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