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23_06_05 (월)

jegw·2023년 6월 4일
0

TIL

목록 보기
16/77

오늘 한 일

✔️팀 과제

  • 베이스 코드 리뷰
  • 역할 분담

✔️학습법 특강


Git과 GitHub로 협업하기

여러명이서 하나의 레포지토리에 프로젝트를 만들 때 두가지 방법이 있다.

  • 우선 한명이 깃을 초기화한 폴더와 새로운 레포지토리를 연결하고 기본이 되는 파일을 만들어서 푸시한다. 이 때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하느냐?
  1. 레포지토리를 다른 사람들이 클론하고 레포지토리의 주인이 collaborator로 다른 사람들을 초대한다. 다른 사람들은 그 레포지토리로 가서 초대를 수락하면 된다.
    이 경우, collaborator로 초대받은 사람들도 풀 리퀘스트를 머지할 수 있다. 클론한 레포지토리에서 브랜치를 만들어서 푸시하고 메인 브랜치에 풀 리퀘스트를 보낸다.

  2. 레포지토리를 자신의 깃허브 계정에 포크(fork)한다. 포크한 레포지토리를 자신의 컴퓨터에 클론하고 거기에 푸시를 한다. 그리고 원본 레포지토리에 풀 리퀘스트를 보낸다.

(포크 방식도 브랜치를 만들어서 푸시할까?)

메인 브랜치는 항상 머지로만 코드가 변경되어야 한다.

📌기능 구현 후

풀 리퀘스트를 하여 머지가 되면, 다른 팀원들은 최신화를 할 때 어떡해야 할까?
자신의 기능을 개발 중이라면 커밋이나 스태쉬를 해야 한다.

현재 브랜치에서 커밋하지 않은 변경사항이 있을 때는 다른 브랜치로 체크아웃 할 수 없다.

스태쉬 stash

변경사항을 잠깐 저장해두는 기능이다.

git stash save
git stash apply

save를 해두고 메인 브랜치를 pull한 다음 apply를 하고 다시 개발을 이어 나가면 된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