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 분해 할당 구문은 배열이나 객체의 속성을 해체하여 그 값을 개별 변수에 담을 수 있게 하는 JavaScript 표현식
var foo = ["one", "two", "three"];
var [red, yellow, green] = foo;
console.log(red); // "one"
console.log(yellow); // "two"
console.log(green); // "three"
var o = {p: 42, q: true};
var {p, q} = o;
console.log(p); // 42
console.log(q); // true
함수 매개변수로 전달된 객체에서 필드 해체하기
function userId({id}) {
return id;
}
function whois({displayName: displayName, fullName: {firstName: name}}){
console.log(displayName + " is " + name);
}
var user = {
id: 42,
displayName: "jdoe",
fullName: {
firstName: "John",
lastName: "Doe"
}
};
console.log("userId: " + userId(user)); // "userId: 42"
whois(user); // "jdoe is John"
=> react에서 자식 컴포넌트로 데이터를 보낼 때 주로 구조분해할당으로
받아왔는데 매우 생경했다. 오늘 이렇게 보니 이해가 된다 :-) 많은 데이터를 한번에 넘기는 것이 아니라, 그 중에서 필요한 것만 쏙 뽑아서 매개변수로 전달했던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