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포스트는 AWS IAM과 친해지기 - 조이정 님의 Amazon web services Korea를 시청하고 작성되었습니다.
Elastic Block Storage
→ EC2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된 영구 지속 블록 스토리지 서비스
→ EBS 볼륨을 활용하여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거나 블록 디바이스 자체로 활용중이다
→ EBS는 데이터를 일정한 ㄴ크기의 블록으로 나눠 분산 저장하는 형태
→ 고성능 대규모 데이터 처리와 트랜잭션 집약적인 워크로드에 사용된다
→ DB, 빅데이터 분석,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같은 중요한 업무에 활용
→ 쉽게 말해, EC2 인스턴스인 OS에 붙는 외장 디스크라고 생각하면된다
특징
- 고가용성 : 데이터 손실 방지를 위해 가용 영역 내에서 자동으로 볼륨을 복제함
- 안정성 : 모든 EBS 볼륨 유형은 암호화 지원하고 AES-256 및 Amazon이 관리하는 키 인프라를 사용함
- 확장성 : 어플리케이션 중단없이 볼륨유형 변경 가능
- 성능 : 일정한 I/O 유지하고 낮은 지연시간 제공
- 백업 : 스냅샷 통해서 특정 시점으로 백업할 수 있음
볼륨 타입
- General-purpose SSD(gp2/gp3) : NoSQL 데이터 베이스
- 트랜잭션 워크로드, 낮은 지연 시간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 cassandra, MongoDB, CouchDB 등이 사용됨
- Provisioned IOPS : RDBMS
- I/O가 많은 DB 어플리케이션
- MySQL, SQL server, Oracle, SAP, PostgreSQL 등이 사용됨
- Throughput-optimized HDD : 빅데이터 분석
- 대량의 데이터 셋의 경우
- Kafka, Splunk, Hadoop, data warehousing
- Cold HFF : 파일, 미디어
- 자주 접근하지 않는 큰 사이즈의 데이터 셋
- Transcoding, encoding, rendering 등
EBS 다중연결이 필요한 경우?
- 여러 서버에서 동일한 공간에 있는 파일을 access 해야하는 경우
-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의 장애 발생시에도 지속적인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 Block 기반의 DB에서 가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
- 고성능이 필요한 HPC(High Performance Computing)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