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구조 및 유형을 정의한 것.
; 데이터베이스의 전체적인 정의를 일컬음
; DBMS 관리하의 디스크 카탈로그에 존재
; 메타데이터에 저장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실제값을 가리킴
; 하드 디스크의 Database내에 존재
; 저장데이터에 저장
데이터베이스 운영자를 뜻한다.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 데이터 정의어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 데이터 조작어
; 연관된 데이터들의 모음 A collection(=set) of related data
; a software package
하나의 레코드를 논리적으로 표현 (레코드는 좀 더 물리적인 표현)
하나의 tuple = 하나의 인스턴스
- 파일에 데이터를 저장함
- 순차적, 비순차적 파일 구조를 가짐
- 데이터에 대한 정보는 파일 자체에 내장되어 있음, 일단 파일을 읽음
- 가장 쉽게 저장하는 방법
- 정보의 불충분 (데이터 중복 → 판단이 불가능함 → 데이터구조가 필요힘)
- 파일에 데이터를 저장함
- 스키마를 가짐
- 스키마를 통해 데이터의 구조를 먼저 파악하고 데이터에 접근
자기 기술성 ‘Data System의 Self-contained nature’
; DBMS에는 카탈로그라는 메타데이터(스키마)가 있어 데이터베이스를 설명 해준다.
격리, 결과적으로 데이터 추상화 ‘Programs과 data간의 Insulation’
; Program과 Data는 분리되어 있음.
; 스키마를 보고 데이터를 저장하지만, 프로그램 자체는 스키마만을 보고 프로그램을 짜기 때문에 데이터가 변경되어도 프로그램(데이터 구조 자체-스키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
데이터 추상화 ‘Data Abstraction’
; 데이터의 자세한 걸 알 필요 없음. conceptual view만 user에게 보여주는 DBMS기능
데이터의 location까지 정확히 알 필요 없다.
같은 데이터에 대한 다중관점들을 지원 ‘Multiple View’
; 같은 data에 대해서 얻고자 하는 관점(view)이 모두 다르다.
→ 각 user가 원하는 data만을 기술해 줄 수 있어야한다.
Main costs of using a DBMS
초기 구입 비용이 크고 추가적인 하드웨어 필요성이 있을 때 or
연산 Overhead비용이 클 때
When a DBMS may be unnecessary
구조가 자주 변할 때
홀로 사용하는 경우
A sequence of SQL commands
하위레벨 language 안에 들어가있는 순서가 있는 SQL안에 ➡ 하위레벨 프로그램안에 들어가서 ➡ 하나의 묶음으로 compiler에 들어가 ➡ 하나의 execution file을 형성한 것을 'a transaction'이라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