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사용자의 각각의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ISP(인터넷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IP 주소
외부에 공개되어 있는 IP 주소이다.
만일 모든 IP 주소가 공인IP 로 되어있다면 어떨까?, 요즘은 각 사람마다 통신할수있는 기기가 1대가 아니다, IP 주소는 2^32 만큼의 갯수 즉, 43억개 가량이 되지만, 한 사람이 아이패드, 노트북, 핸드폰, 데스크톱 총 네개를 가지고있다고 생각해보자
그럼 인당 4개의 IP주소가 할당되어야 하고, 집에서도 인터넷을 사용하기위해 여러개의 IP주소를 한사람이 사용해야한다,
이렇게 되면 IP 주소가 부족하게되어 결국 모든사람이 인터넷을 사용할수 없게 될것이다 이를 위해 나온것이 사설IP이다, 하나의 IP 주소를 서브넷팅을 통하여 사설 IP로 할당한다,
이 사설IP는 외부에 공개되어 있는것이 아니기 때문에 내부 망 내에서는 자유롭게 통신을 할수 있게된다.
사설IP 주소는 다음 3가지 주소대역으로 고정된다.
그렇다면 사설 IP 만 가지고 외부와 통신을 할수 있을까?
사설 IP를 각각 뿌려주게 된다.
그림을 보면 쉽게 이해가 될것이다!
즉, 사설망 끼리의 통신은 가능하고, 사설망에서 공인IP를 거치지 않고 외부의 IP 로는 접근이 불가능 하게 된다!
고정 IP : 컴퓨터에 고정적으로 부여된 IP로 한번 부여되면 IP를 반납하기 전까지는 다른 장비에 부여할 수 없는 IP 주소유동 IP : 장비에 고정적으로 IP를 부여하지 않고 컴퓨터를 사용할 때 남아 있는 IP 중에서 돌아가면서 부여하는 IP
인터넷 상에서 서버를 운영하고자 할 때는 공인 IP를 고정 IP로 부여해야 한다는 것이 중요
일반적인 집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서비스 업체는 각 가정마다 공인 IP를 유동 IP로 부여하고, 공유기 내부에서는 사설 IP를 유동 IP로 부여하는 것이 일반적
출처 : https://velog.io/@hidaehyunlee/공인Public-사설Private-IP의-차이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