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냐하면 스프링은 @Component
, @Controller
, @Service
, @Repository
처럼 계층에 맞추어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로직을 자동으로 스캔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발전하고 있다.
또 boot는 컴포넌트 스캔을 기본으로 사용하고 부트의 다양한 스프링 빈들도 조건이 맞으로 자동으로 등록하도록 설계하였다.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부분과 실제 동작하는 부분을 명확하게 나누는 것이 이상적이지만(역할과 구현을 명확하게 나누자),
개발자 입장에서 스프링 빈을 하나 등록할 때 @Component
만 넣어주면 될 일을 설정 정보에 @Configuration
, 객체에 @Bean
을 넣어 생성, 또 주입할 대상을 일일이 적어주는 과정은 프로젝트가 클 수록 상당히 번거롭다.
또 관리할 빈이 많아서 설정 정보가 커지게되면 그 설정 정보를 관리하는 것도 일이다.
무엇보다 빈 등록을 사용해도 OCP, DIP를 지킬 수 있다.
업무 로직
과 기술지원 로직
으로 나눌 수 있다.업무 로직
빈:
웹을 지원하는 컨트롤러, 핵심 비즈니스 로직이 있는 서비스, 데이터 계층의 로직을 처리하는 리포지토리등이 모두 업무 로직이다. 보통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개발할 때 추가되거나 변경된다.
예를들어 - DiscountPolicy 이런거 계속 바꿔야했던것들
기술 지원
빈:
기술적인 문제나 공통 관심사(AOP)를 처리할 때 주로 사용된다. DB연결이나, 공통 로그 처리 처럼 업무 로직을 지원하기 위한 하부 기술이나 공통 기술들이다.
업무 로직
은 숫자도 매우 많고 한번 개발한다면 컨트롤러, 서비스, 리포지토리 처럼 어느정도 유사한 패턴이 있다.
이런경우 자동 빈 등록
기능을 적극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보통 문제가 발생해도 어떤 곳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명확하게 파악하기 쉽다.
기술 지원 로직
은 업무 로직
과 비교해서 그 수가 매우 적고, 보통 어플리케이션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친다.
업무 로직
은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디사 문제인지 명확하게 잘 들어나지만,
기술 지원 로직
은 적용이 잘 되고 있는지 아닌지 조차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이런 기술 지원 로직
들은 가급적 수동 빈 등록
을 사용해서 명확하게 들어내는 것이 좋다.
즉,
수동 빈 등록
은@Configuration
이 들어간 AppConfig.java 이런데에 등록이 될텐데 이렇게 하면
기술지원로직과 관련된 스프링 빈 들만 나오게된다.
그러면 제 3자가 봐도 "아~ 얘들이 전체적으로 업무에 영향을 미치는구나, 공통 로직 로그가 나오는구나"를 알 수 있다.
그런데 비즈니스 로직중에서도 다형성을 적극 활용할 땐, 수동 빈 등록을 권장한다.
의존관계 자동 주입 - 조회한 비이 모두 필요할 때, List, Map을 다시 떠올려보자.
DiscountService
가 의존 관계 자동주입으로 Map<String, DiscountPolicy>
에 주입을 받는 상황을 생각해보자.
여기에 어떤 빈들이 주입될 지, 각 빈들의 이름은 무엇일지 코드만 보고 제 3자가 한번에 쉽게 파악할 수 있을까?
@Configuration
public class DiscountPolicyConfig{
@Bean
public DiscountPolicy rateDiscountPolicy(){
return new RateDiscountPolicy();
}
@Bean
public DiscountPolicy fixDiscountPolicy(){
return new FixDiscountPolicy();
}
}
물론 스프링과 부트가 자동으로 등록하는 수많은 빈들은 예외이다.
예를들어 부트의 경우DataSource
같은 DB 연결에 사용하는 기술 지원 로직까지 환경설정 파일에 적으면 자동으로 데이터 소스가 값에 들어가서 자동 빈 등록이 되는데 이런 부분들은 docs에 가서 부트가 하란대로 잘 사용하면 된다.
다만 부트에서 제공하는 기능이 부족하다면 직접 스프링 빈을 만들어서 등록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