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금까지 우리는 Servelt과 JSP, JDBC를 사용했는데 이는 java + sql 이 같이 들어있어서 sql을 수정하려면 java까지 건들여야하는 단점이 있다.
즉, 유지보수가 빡쎄다는 뜻이다. 따라서 분리시키면 개발속도가 빨라지고 생산성이 빨라진다.

com(company의 약자).gjai(회사명).spring(contextpath이고 이게 제일 중요함)가 들어간다.
localhost:8081/springMVC/board.jsp 이렇게 접근했다면 Spring에선 localhost:8081/spring/board.do 처럼 프로젝트의 명을 노출하지 않는다. 자, 프로젝트를 생성했다면 이 프로젝트를 서버에 프로젝트를 등록해보자.

여기를 눌러 나온 프로젝트들을 모조리 등록해주면 된다.
여기를 들어가서 보면 다 알 수 있다. 
?로 시작해서 !로 끝나는게 인상 깊습니다 선생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