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 1. Access Token > 2. Refresh Token > 3. 토큰 재발급 과정 > 4. 기기별 Refresh Token 관리 방법 웹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를 인증하고 API에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데에는 과 이라는 두 가지 주요 토
목차 1. 컨텍스트 스위칭 2. 동기/비동기 처리 3. Blo
(작성중...🔥) > ### 목차 > > 1. Filter의 개념 및 Spring Security Filter의 역할 > 2. Reactive에서 Spring Security 클래스 구조 및 역할 > 3. 구현(Java) Filter의 개념 및 Spring Sec
목차 > > 복잡한 문서구조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PostgreSQL의 적합성 > MySQL의 한계 > Neo4j의 한계 > 그 외 PostgreSQL의 특징 복잡한 문서구조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PostgreSQL의 적합성 객체-관계형 모델(ORDBMS)
json타입은 JSON 데이터를 입력한 그대로 텍스트 형태로 저장된다. 데이터의 유효성만 검사하고, 내부 구조에 대한 별도의 처리를 하지 않는다.장점입력된 데이터의 공백이나 키 순서가 그대로 유지된다.데이터 삽입이 빠르다.단점데이터를 조회할 때마다 전체 텍스트를 파싱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다 보면 특정 데이터베이스 작업이 발생했을 때 자동으로 다른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예를 들어, 상품 가격이 변경될 때마다 그 기록을 남기거나, 새로운 사용자가 생성될 때 환영 이메일을 보내는 것과 같은 일이다.이런 자동화된 작업을
현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 증가와 트래픽 급증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단일 PostgreSQL 인스턴스로는 더 이상 감당할 수 없는 규모에 도달했을 때, 샤딩(Sharding)은 필수적인 해결책이 된다. 이 글에서는 샤딩의 핵심 개념부터 PostgreSQL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