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사용권한

이정민·2021년 12월 13일
0

Achivement Goals

사용 권한과 소유자에 대해 이해하고, 사용 권한을 변경할 수 있다.

  • 파일의 소유자와 파일에 적용된 사용 권한을 확인하고 이해할 수 있다. ls -l
  • 파일에 적용된 사용 권한을 변경할 수 있다. chmod
  • 맨앞이 -이면 file/ d이면 directory

    chomod: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
    -폴더나 파일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변경할 수 있다.

    첫번째 방법. Symbolic method

    사용 예시
    chmod g-r filename # removes read permission from group
    chmod g+r filename # adds read permission to group

    =>액세스 클래스와 연산자, 액세스 타입을 모두 기억해야만 사용할 수 있다.

    Absolute form 숫자 7까지 나타내는 3bits 의 합으로 표기
    Read(r) =>4
    Write(w) =>2
    Execute(x)=> 1
    사용예시
    #u=rwx (4 + 2 + 1 = 7), go=r (4 + 0 + 0 = 4)
    chmod 744 helloworld.js # -rwxr--r--

    rwx
    000 = 0
    001 = 1
    010 = 2
    011 = 3
    100 = 4
    101 = 5
    110 = 6
    111 = 7

    ex.
    chmod 744 helloworld.js
    user =>7
    group =>4
    other=> 4

    -rwxr-r-

    sudo?
    일반 사용자가 root권한을 빌려서 명령어를 실행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커맨드(해당 하는 한번의 명령어에만 root권한을 부여 => 일회성)

    su?계정 자체를 전환 (su계정명) user를 root 권한으로 바꾸는 것
    root: 해당 시스템 전체의 관리 권한을 가진 전지 전능한 슈퍼 유저
    admin: 일반 유저의 하나일 뿐 그 자체가 관리자 권한을 가진것은 아니다. 그러나 root가 관리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그래서 컴퓨터에서 시스템 관련 명령을 내릴때 그 계정으로 들어와서 정식으로 root에게 허가를 받아라
    user: 그냥 일반 유저

    chmod라는 명령어로 권한 설정을 해주어야하는 이유? 내가 만든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다른 사람이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없게 하기 위해서
    changemode의 줄임말
    =>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