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술연산자 : number type 데이터를 연산할때 사용
종류 : +, -, *, /, % (% : 나머지 연산자)
let result1=10+1; //11
let result2=10-1; //9
let result3=10*10; //100
let result4=10/2; //5
let result5=10%3; //1
let num1=10;
let num2=1;
let result6=num1+1; // 11
let result7=num1%3; // 1
let result8=num1-num2; // 9
let obj={first:10, second:20};
let arr=[10, 20, 30];
let result9=1+obj.first; // 11
let result10=10*arr[1]; // 100
논리(boolean)연산자 : 논리값(true of false)을 연산
//문자열을 입력 받아서
const inputStr=prompt("임의의 정수를 입력 하세요"); // const : constant(상수), 항상 같은 수
//숫자로 바꾸기 -> const로 선언한 변수는 값을 재할당할 수 없음 ! 변치 않는 값을 갖는 변수를 생성하므로
const inputNum=Number(inputStr);
//입력한 수가 0 보다 큰수인지 확인한다.
if(inputNum > 0){
console.log("입력한 수는 0 보다 큽니다.");
}
//입력한 수가 짝수인지 확인한다.
if(inputNum%2 == 0){
console.log("입력한 수는 짝수 입니다.");
}
//입력한 수가 0보다 큰수이고 동시에 짝수인지 확인한다.
if(inputNum > 0){
if(inputNum%2 == 0){
console.log("입력한 수는 0보다 크고 동시에 짝수 입니다.");
}
}
// 만일 inputNum이 0보다 크고(그리고) inputNum을 2로 나눈 나머지가 0과 같다면 (읽는 연습)
if(inputNum>0 && inputNum%2==0){
console.log("입력한 수는 0보다 크고 동시에 짝수 입니다.");
}
let result1=false&&false; //false
let result2=false&&true; //false
let result3=true&&false; //false
let result4=true&&true; //true
// 만일 inputNum이 0보다 크거나 inputNum을 2로 나눈 나머지가 0과 같다면
if(inputNum>0 || inputNum%2==0){
console.log("입력한 수는 0보다 크거나 또는 짝수 입니다.");
}
let result5=false||false; //false
let result6=false||true; //true
let result7=true||false; //true
let result8=true||true; //true
let result9=!true; //true를 반전-> false
let result10=!false; //false를 반전-> true
!=랑 =!은 다른것 !! 구별하기
let isRun=true;
let isWait=false;
if( !isRun ){
}
if( isRun == false){
}
if(!isRun || !isWait){
}
대입 연산자
= : 우측에 있는 값을 좌측에 대입
+= : 우측에 있는 값을 좌측에 있는 원래 값에 더해서 대입
-= : 우측에 있는 값을 좌측에 있는 원래 값에 빼서 대입
*= : 우측에 있는 값을 좌측에 있는 원래 값에 곱해서 대입
/= : 우측에 있는 값을 좌측에 있는 원래 값에 나누어서 대입
%= : 우측에 있는 값을 좌측에 있는 원래 값을 나눈 나머지 값을 대입
let num1=100;
let num2=100;
//num2=num2+10;
num2 += 10;
let num3=100;
//num3=num3-10;
num3 -= 10;
let num4=100;
//num4=num4*10;
num4 *= 10;
let num5=100;
//num5=num5/10;
num5 /= 10;
let num6=100;
//num6=num6%3;
num6 %= 3;
비교 연산자
== => 같은지 비교
!= => 다른지 비교
> => 큰지 비교
>= => 크거나 같은지 비교
< => 작은지 비교
<= => 작거나 같은지 비교
//1. 문자열의 내용 비교
var myName="김구라"
var isEqual= myName == "김구라"; //true
var isDifferent= myName != "해골"; //true
//2. 숫자의 크기 비교
var myNum=100;
var isBigger= myNum > 50; //true
var isSmaller= myNum < 200; //true
//3. 숫자가 같은지 다른지 비교
var yourNum=100;
var isNumEqual= yourNum == 101; //false
var isNumDiff= yourNum != 101; //true
//4. 논리값 비교
var isRun=true;
var result= isRun == true; //true;
var result2= isRun != false; //true;
//5. 알파벳, 가나다 순서 (사전에서 뒤에 있는 것이 큼)
var result3= "a" < "b"; //true
var result4= "가" > "나"; //false
증감 연산자
++ : 1 증가 시키기
-- : 1 감소 시키기
증감연산자의 위치는 변수의 앞/뒤 모두 가능
-> but 증감연산자를 변수의 뒤에 붙이면 연산의 우선순위가 가장 뒤쳐짐 !(제일 마지막에 연산됨)
let num=0;
//num=num+1;
++num;
num++;
let num2=0;
--num2;
num2--;
let a=0;
let result = ++a + 10; // result=11
let b=0;
// 증감연산자를 변수 뒤에 붙인 경우
let result2 = b++ + 10; // result2=10
10을 result2에 대입한 후 b를 연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