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inikube는 kubernetes를 쉽게 배우고 개발할 수 있도록 중점을 둔 로컬 Kubernetes이다. minikube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2CPU 이상, 2GB 메모리, 20GB 디스크 여분, 인터넷 연걸, 그리고 Docker, HyperKit과 같은 컨테이너 또는 가상 머신을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왜 컨테이너나 VM manager가 필요한지 궁금했는데, Minikube는 Kubernetes 클러스터를 로컬 컴퓨터에서 단일 노드로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이므로 이를 위해 내부적으로 가상 머신(VM)이나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구성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가상 머신 또는 컨테이너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매니저가 필요한 것이다.
나는 Docker desktop을 미리 설치해두었기 때문에 Minikube 외 다른 것은 설치하지 않았다. Docker Desktop 설치는 여기 도커 데스크탑 공식 사이트 에서 직접 설치하였다. 혹시라도 Docker나 VM manager를 설치하지 않으신 분들은 minikube 설치 전에 미리 설치하시기를 바란다.
minikube docs 페이지에 방문하면 내 환경에 맞추어 어떻게 다운로드 받아야 하는지 친절하게 알려준다. 나는 M3 Mac에 설치할 예정이므로 macOS, ARM64를 선택하고 Homebrew를 통해 다운받는것을 선택했다. 그리고 아무래도 Beta보단 Stable이 좋으니까 아래와 같이 선택했다. 혹시라도 homebrew 설치 안되신 분들은 Homebrew 페이지에 나와있는 명령어를 터미널에 복사해서 설치하면 된다.
이미지와 같이 터미널에 명령어를 입력하면 minikube 설치가 완료된다.
brew install minikube
그럼 설치가 되고, cluster를 실행해보자.
minikube start
생각 외로 install 보다 start가 시간이 조금 더 걸린다.

minikube 설치와 실행은 몹시 간단하다. 오늘은 늦었으니 설치까지만 진행을 하고, 차근차근 내 로컬 환경을 하나씩 구축해가봐야 겠다.
나는 kubernetes를 관리할 때 openLens라는 application을 애용한다. minikube 뿐만 아니라 다른 kubernetes 환경이 있다면 전환하기도 편하고, pod들의 status를 한 눈에 볼 수 있어서 아주 애용하고 있다. 각각의 클러스터에 들어가 해당 터미널에서 kubectl 치면 해당 클러스터 환경으로 인식한다.

CLI 환경에 익숙해지고 싶으신 분들에게는 추천하지 않고, kubernetes를 조금 더 직관적으로 알고 싶으신 분들에게는 추천하는 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