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per() : 부모생성자 호출하여 값 넘겨주기
this() vs super() : 내 생성자 중에서 불러오냐, 부모생성자 중에서 불러오냐 차이
부모 클래스인 Car가 힙영역에 먼저 생성된 뒤에, 자식클래스가 뒤에 추가되는 형태로
객체가 생성된다.
부모 생성자가 항상 먼저 호출되기 때문에,
부모 생성자에 매개변수가 있다면,
반드시 부모생성자를 호출해서 값을 넘겨줘야한다.
오버라이딩 : 상속관계에서 메서드/를 재정의하여 사용하는 것
// 배열선언
Customer cusList[] = new Customer[5];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Customer cusShin = new Customer("신사임당");
Customer cusLee = new Customer("이순신");
VipCustomer cusKim = new VipCustomer("김유신", 100);
GoldCustomer cusKang = new GoldCustomer("강감찬");
GoldCustomer cusSae = new GoldCustomer("세종대왕");
// 배열선언
Customer cusList[] = new Customer[5];
cusList[0] = cusLee;
cusList[1] = cusShin;
cusList[2] = cusKim;
cusList[3] = cusKang;
cusList[4] = cusSae;
for(int i = 0; i<cusList.length;i++) {
System.out.println(cusList[i].getName()+"의 할인 적용 구매액 : "+cusList[i].calc(100000));
System.out.println(cusList[i]);
System.out.println("=========================");
}
자식이 부모로 형변환 되는 순간 자식에서 추가한 부분은 쓸 수 없어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