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리눅스 기초 - SSH와 PORT

ID짱재·2021년 3월 12일
0

Llinux

목록 보기
15/17
post-thumbnail

🌈 SSH

🔥 SSH 란?

🔥 SSH 접속 방법

🔥 포트(port)


1. SSH 란?

  • SSH(Secure Shell)는 원격지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임
  • SSH는 명령어 방식으로 컴퓨터를 원격지에서 제어하는 방식임
  • SSH는 SSH Client와 SSH Sever 간에 암호화된 방식으로 정보를 주고 받기 때문에 보안상 우수

2. SSH 접속 방법

  • 원격 지원 sever에서 기본 22번 포트를 사용할 때
    • ssh [원격지원 서버 user id명]@[원격지원 서버 ip]
  • 원격 지원 sever에서 다른 포트번호를 사용할 때
    • ssh [원격지원 서버 user id명]@[원격지원 서버 ip] -p [포트번호]

3. 포트(port)

  • 모든 서버 PC에서는 port라는 것이 있음(0번 부터 ~ 약 65만 5천번)
  • 네트워크에서는 1024번 port까지는 이미 정해져 있음
  • 22번 port : SSH 서버는 22번 포트에 설정되는 것이 Default값임
  • 80번 port : Web 서버는 80번 포트에 설정되는 것이 Default값임

1) 공인IP(Public IP) vs 사설 IP(Private IP)

  • ISP(Internet Service Provider)가 Public IP를 라우터(공유기)에 제공하면, 공유기가 그 장소 안에 기기들에 대해 Private IP를 제공하는 형식으로 각각의 디바이스는 IP주소를 가짐
  • 이에 Public IP를 라우터의 IP라고 볼 수 있고, 노트북, 핸드폰, 데스크탑은 공유기를 통해 부여 받은 내선번호와 같은 Private IP를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음

2) MAC ip 주소 확인

  • Public IP 확인 방법
    • Public IP는 외부에서 라우터까지 찾아올 때 쓰는 IP
    • web 주소창 입력 : http://ipinfo.io/ip
    • 터미널 입력 : curl ipinfo.io/ip
  • Private IP 확인 방법
    • Private Ip는 내선번호와 같이 라우터와 기기간에서 사용하는 할당된 IP
    • [환경설정] ⇢ [네트워크]
    • 터미널 입력 : ifconfig | grep inet

3) 포트 포워딩(port forwarding)

  • 외부에서의 requests가 라우터를 통해 들어와 지정된 port를 통해 각 기기의 Private IP로 전달된 후 response되는 과정
  • 포트 포워딩을 위해서는 공유기의 환경설정을 통해 라우터가 가진 포트를 Private IP와 연결시켜줘야 함
  • 라우터는 외부와 내부를 중계하는 역할을 하며, 라우터의 설정을 하기 위해서는 "Default Gateway" 찾아 웹브라우저 검색창에 입력해주면 환경설정이 나타남
    • Default Gateway : [환경설정] ⇢ [고급] ⇢ [TCP/IP]에 라우터 번호
  • 공유기 환경설정에서 포트 포워딩 설정을 찾아 Private IP주소(내부IP주소)에 외부포트와 내부포트를 지정해주면 됨
    • 내부IP주소 확인해서 입력하고, 규칙이름을 설정
    • 외부포트는 외부에서 라우터를 통해 기기에 다다를 수 있도록 원하는 포트번호를 지정함
    • 내부포트는 기기에 서버가 설정된 포트(80) 번호를 입력해주면됨
  • 포트 포워딩 설정이 완료되면, 외부의 requests가 Public IP와 외부포트 번호를 통해 라우터로 들어오면 라우터가 포트번호를 확인해서 이를 해당 기기의 내부포트(서버)로 전달함
profile
Keep Going, Keep Coding!

0개의 댓글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