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나라에는 1번부터 N번까지의 도시와 M개의 단방향 도로가 존재한다. 모든 도로의 거리는 1이다.
이 때 특정한 도시 X로부터 출발하여 도달할 수 있는 모든 도시 중에서, 최단 거리가 정확히 K인 모든 도시들의 번호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또한 출발 도시 X에서 출발 도시 X로 가는 최단 거리는 항상 0이라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N=4, K=2, X=1일 때 다음과 같이 그래프가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 때 1번 도시에서 출발하여 도달할 수 있는 도시 중에서, 최단 거리가 2인 도시는 4번 도시 뿐이다. 2번과 3번 도시의 경우, 최단 거리가 1이기 때문에 출력하지 않는다.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으로 접근해봤다.
//index N일때 최대 earnGlad값
void DijkStra()
{
//거리랑 도로
priority_queue<pair<int, int>, vector<pair<int, int>>, greater<pair<int, int>>> pq;
//초기화
minDist[X] = 0;
pq.push({ 0, X });
while (!pq.empty())
{
int dist = pq.top().first, curNode = pq.top().second;
pq.pop();
for (int nextNode : adj[curNode])
{
//elem까지의 최단거리가 갱신되면
if (minDist[nextNode] > dist +1)
{
minDist[nextNode] = dist + 1;
pq.push(make_pair(minDist[nextNode], nextNode));
}
}
}
}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queue>
#include<iostream>
#include<algorithm>
#include<cmath>
using namespace std;
int minDist[300'001];
//시작 도시
int X;
vector<vector<int>> adj;
//다익스트라
void DijkStra()
{
//거리랑 도로
priority_queue<pair<int, int>, vector<pair<int, int>>, greater<pair<int, int>>> pq;
//초기화
minDist[X] = 0;
pq.push({ 0, X });
while (!pq.empty())
{
int dist = pq.top().first, curNode = pq.top().second;
pq.pop();
for (int nextNode : adj[curNode])
{
//nextNode까지의 최단거리가 갱신되면
if (minDist[nextNode] > dist +1)
{
minDist[nextNode] = dist + 1;
pq.push(make_pair(minDist[nextNode], nextNode));
}
}
}
}
int main()
{
int N, M, K;
bool isAnswerFound = false;
fill(minDist, &minDist[300'001], 300'001);
cin >> N >> M >> K >> X;
adj.resize(N + 1);
for (int i = 0; i < M; i++)
{
int start, end;
cin >> start >> end;
adj[start].push_back(end);
}
DijkStra();
for (int i = 1; i <= 300'000; i++)
{
if (minDist[i] == K)
{
cout << i << "\n";
isAnswerFound = true;
}
}
if(!isAnswerFound)
cout << -1 <<"\n";
}
거리가 1이기때문에 BFS로 풀어도 깔끔하다.
마지막에 -1 출력 하는부분을 빼먹어서 한번 틀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