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풀어본 문제는
백준 3273번 두 수의 합 입니다.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N,X;
static int [] map;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map = new int[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int i = 0; i < N; ++i) map[i] = Integer.parseInt(st.nextToken());
Arrays.sort(map);
X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t answer = 0;
for(int i = 0; i < N; ++i)
{
int next = map[i];
if((X - next) < next) break;
if(search(i,next)) answer++;
}
System.out.println(answer);
}
static boolean search(int idx, int cur)
{
int start = idx;
int end = N-1;
int sum = 0;
while(start <= end)
{
int mid = (start + end) / 2;
sum = cur + map[mid];
if(sum <= X)
{
if(sum == X) return idx != mid;
start = mid+1;
}
else end = mid-1;
}
return false;
}
}
N개의 수를 가진 수열에서, 두 값을 더해 X를 만들 수 있는 쌍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처음 문제를 읽고 이분탐색으로 풀어야겠다는 생각을 했지만, 문제에 자신보다 뒤에있는 숫자와만 쌍을 이룰 수 있는 조건이 있어서 정렬을 해도 될지 고민이 었습니다. 하지만 한 쌍을 구했을 때, 피연산자들의 위치를 서로 뒤집는다 생각해보면 굳이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 조건인 것 같습니다.
따라서 저는 먼저, 입력된 수열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했습니다.
정렬된 배열의 0번째 인덱스부터 시작하여 해당 값으로 쌍을 만들 수 있는지 여부를 search함수에서 판단하여, true일경우 answer에 값을 더해주는 흐름입니다.
정렬된 배열로부터 순서대로 진행하기 때문에, 목푯값인 X에서 자신을 빼준 값, 즉 쌍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수가 현재 자신보다 작다면, 더 이상 진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반복문을 종료해줄 수 있습니다. 현재 위치의 오른쪽 값은 모두 자신보다 크기 때문입니다.
또한, 자신을 필요로 하는 쌍은 앞에서 이미 구해주었기 때문에, start값을 항상 현재 인덱스로 초기화시켜, 우측에 있는 값들로만 쌍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자기 자신을 쌍으로 판단해버리는 경우를 알아차리지 못해, 몇번 미끄러졌습니다..ㅠ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