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 Python ( 1 )

hihyeon_cho·2022년 11월 8일
1

TIL

목록 보기
7/101

Python 출력하기

print('hello sparta')

Python 주석

# 한줄주석처리
'''
여러줄
주석
처리
'''

변수와 자료형

변수

: 변수는 어떠한 값을 담는것, 컴퓨터 입장에서는 값이 담긴 위치를 가리키는 것 을 의미한다.
변수를 만들 때는 변수이름 = 값 의 형태로 작성한다.

a=2
print(a) # => 2

자료형

: 프로그래밍을 할 때 쓰이는 숫자나 문자열 등 자료 형태로 사용하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1 ) 숫자형 자료형
여러가지 형태의 숫자를 사용할 수 있고,

      print(5)
      print(-10)
      print(3.14)
      print(10000000000)

사칙연산도 가능하다.

      print(1+1) # 더하기
      print(1-1) # 빼기
	  print(3/2) # 나누기
	  print(2*3) # 곱하기
	  print(2**3) # 제곱
      print(5*(5-1)) # 괄호로 연산
      print(9//5) #몫구하기
      print(3%2) #나머지 구하기

2 ) Boolean형 자료형 ( T / F )

a= True
print(a)  # => True
a = (3 == 2)
print(a)  # => False
print(5>10)
print(5<10)
print(True)
print(False)
print(not False)
print(not True)
print(not (5>10))

문자열( String )

: '' or "" 문자열데이터는 따옴표 필수 !!

a = 'hihee'
print(a) # => hihee

여러줄을 한번에 나타낼때 앞뒤 """ 사용

sentence = 
"""
해피는 귀여워요
너무너무 사랑스러워요
"""

print(sentence) =>  해피는 귀여워요
					너무너무 사랑스러워요

문자열 연산

  • 문자열 더하기
    first_name = 'hihee'
    last_name = 'cho'
    print(first_name + last_name) # => hiheecho
    a = '2'
    b = '3'
    print(a+b) # => 23
  • 문자열 + 숫자는 error
    a = '2'
    b = 3
    print(a+b) # => 에러!!
  • 문자열의 길이는 len()함수 이용
    text = 'abcdefghijk'
    result = len(text)
    print(result) # => 11

문자열 자르기

  • 슬라이싱

    text = 'abcdefghijk' # 0부터시작!
    
    result = len(text) # => 문자열 길이구하기
    result = text[:3] # => 3번 직전에 자르기(0,1,2/-)
    result = text[3:] # => 3번부터 나타내기 (-/3~)
    result = text[3:8] # => 3번 ~ 8번 직전까지 부분 나타내기(-/3~7/-)
    result = text[:] # => 복사
    
    print(result)
  • split('문자열')로 특정 문자열 자르기

    myemail = 'jhh7929@naver.com'
    
    result = myemail.split('@') # => @기준으로 쪼개짐
    result = myemail.split('@')[1] # => naver.com
    result = myemail.split('@')[1].split('.')[0] # => naver
    
    print(result)

list & dictionary

list

  • list 종류

    a_list = [0,5,3,1,2,4]
    #len()함수로 리스트의 길이 측정 가능
    print(len(a_list)) #=> 6
    
    #list 안에 list가 있는 경우 아래와 같이 출력할 수 있음
    b_list = ['사과', '배','감',3, False,['메론', '수박']]
    print(b_list[5][0]) #=> 메론
  • list 추가하기, 인덱싱 / 슬라이싱

    a_list = [0,5,3,1,2,4]
    
    a_list.append('10') # list 마지막에 '10'추가
    a_list.insert(1,"6") # 1번째 자리에 '6'추가 
    
    result = a_list[:3] # 앞에서 3개만 자르기
    result = a_list[1:4] # 1번째 ~ 4번째 전까지 자르기
    result = a_list[-1] # 제일 마지막순서만 자르기
    
    a_list.sort() # 오름차순 정렬
    a_list.sort(reverse=True) # 내림차순정렬
    a_list.reverse() # 내림차순정렬
    a_list.clear() # list 초기화(전부 삭제)
     
    print(a_list.index("5")) # 5의 index번호 출력하기
    print(a_list.pop()) # 뒤에서부터 밖으로 꺼내어 출력
    print(a_list.count("0")) #0의 갯수 출력
  • 다양한 자료들과 함께 사용가능

    num_list = [ 2,4,5,6,8,1,9,3]
    mix_list = ["수박",10,True]
    
    # num_list와 mix_list 합치기
    num_list.extend(mix_list)
    print(num_list) # => [2, 4, 5, '수박', 10, True]

dictionary { key : value }

a_dict = {'name' : 'bob' , 'age' : 27}
result = a_dict['name']

# dictionary에 'height'값 추가하기
a_dict['height']=180  

# a_dict에 'height'키가 존재하는지 출력하기
print('height' in a_dict) # => True

list + dictionary

# dictionary안에 list
a_dict = {'name' : 'bob' , 'age' : 27, 'friend':['민지','지호']}
result = a_dict['friend'][0] # => 민지


# list안에 dictionary
people = [
    {'name' : 'bob' , 'age' : 27},
    {'name' : 'ann' , 'age' : 24}
]
# 리스트 0번째의 딕셔너리의 'name'을 출력
print(people[0]['name']) # => bob

조건문

: if / elif / else를 이용하여 작성.
조건 뒤에 :(콜론)을 찍고 들여쓰기를 해야 적용이 된다.
( ' : ' 아래가 조건을 만족했을 때 실행할 내용 )

money = 2000

if money > 3000:
   print('택시를 타자!') 
   
elif money > 1200:
   print('버스를타자')
   
else:
   print('걸어가야지')

# => 버스를타자

반복문 ( for )

fruits =['사과', '감','배', '귤', '수박']

for fruit in fruits: 
# furuits라는 list에 있는 값들을 fruit라는 변수에 담아서 꺼내쓴다.
 	print(fruit)
  • break : 반복을 멈춤

    people = [
        {'name': 'bob', 'age': 20},
        {'name': 'carry', 'age': 38},
        {'name': 'john', 'age': 7},
        {'name': 'smith', 'age': 17},
    ]
    
    for i, person in enumerate(people) :
        name = person['name']
        age = person['age']
        print(i, name, age)
        if i > 1 : 
            break 
            # i가 1보다 커지면 반복을 멈춘다. i는 2에서 반복을 멈춤.
    
    # 	=> 0 bob 20
    #      1 carry 38
    #      2 john 7
    
  • 배열의 짝수개수 구하기

    num_list = [1, 6, 3, 2, 4, 5, 6, 2, 4, 10]
    result = 0 #for문 밖에서 변수선언하기!!
    for num in num_list :
        if num%2 == 0:
            result += 1
    
    print(result) # 밖에서 출력해야 하나만 나온다.
  • 배열의 총합 구하기

    num_list = [1, 6, 3, 2, 4, 5, 6, 2, 4, 10]
    sum = 0
    for num in num_list :
        sum += num
    
    print(sum)
  • 최대값 출력하기

    num_list = [1, 6, 3, 2, 4, 5, 6, 2, 4, 10]
    max = 0 # max를 0으로 선언
    for num in num_list :
        if num > max : 
            max = num
    	# 비교했을 때, max보다 num이 더 크면 max에 num을 저장한다.
    print(max)

함수

def sum(a,b): 
    print('더하기 !')
    return a+b

result = sum(1,2) 
# sum함수가 불러진 순간, a에 1, b에 2가 들어감
# return 구문를 만나면 result의 값은 3이 됨
print(result) # => 3
profile
코딩은 짜릿해 늘 새로워 ✨

1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2년 11월 9일

문법은 많은 반복만이 익숙해지는 지름길이더라구요 화이팅!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