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uth2

Lee·2022년 2월 1일
0

OAuth 탄생배경

사용자가 가입된 서비스의 API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권한을 위임 받아야 한다. 그러나 모든 웹 사이트에서 회원가입을 거치는 것은 사용자에게 부담이 되었고 웹 사이트를 운영하는 측에서도 회원들의 개인정보를 지켜야하는 부담이 생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패스워드 없이도 권한을 위임 받을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해 고안된 기술이다.

OAuth란

OAuth는 인터넷 사용자들이 비밀번호를 제공하지 않고 다른 웹사이트 상의 자신들의 정보에 대해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공통적인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접근 위임을 위한 개방형 표준이다.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에게 모든 권한을 넘기지 않고 사용자 대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HTTP 기반의 보안 프로토콜이다.

용어

Resource Server : 제어하고자 하는 자원을 가지고 있는 서버(ex 카카오, 구글, 페이스북)
Resource Owner : 자원의 소유자 (ex 일반 이용자)
Client : 서비스를 Resource Server에 접속해 제공하는 (ex 서비스 제공자)
Authorization Server : 인증정보를 가지고 있는 서버

사용 절차

  1. OAuth를 사용하기 위해 우리가 카카오에 등록 절차를 통해 승인을 받아야 한다. 이 과정을 통해 client id, client secret, authorized redirect URLs를 획득하게 된다.
  • client id란 어떤 사이트에서 OAuth 인증을 요청하는지 resource server에 알려주기 위해 사용한다.
  • authorized redirect URLs는 카카오 유저 정보를 우리 웹서비스로 전송해 주는 URL로 우리는 GET으로 카카오 인증 서버에 authorized redirect URLs을 주어야 하며 카카오는 authorized redirect URLs로 계정 정보를 POST로 전송한다.
  1. 카카오 인증 서버에 authorized redirect URLs와 client id를 통해 인증을 받고 보안상의 이유로 바로 유저정보를 받는게 아닌 authorized code라는 매개변수를 발급한다.

  2. 카카오 인증 서버에 authorized redirect URLs, code, client id, client secret을 통해 Access token을 요청한다.

  • Access token이란 구글이 가지고 있는 구글 이용자 정보 중 어떤 것에 접근할 수 있는지 나타내며 이것을 통해 구글 서버에서 데이터를 받아올 수 있다.
profile
발전하고 싶은 백엔드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