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로 뒤에 오는 것http://localStorage:1234/posts/100
라면, 100이 id params다.
router.get('/:id', (req, res) => {
const { id } = req.params; // -> req.params.id
console.log(id); // 100
console.log(req.params); // { id: '100' }
});
⚠️ 문자열 형태로 받기 때문에, 숫자로 활용하려면
Number
형변환이 필요하다.
velog에서 시리즈를 눌렀을 때 나오는 경로의 TIL
부분이 params다.
?
뒤에 오는 것http://localStorage:1234/posts?title=JS
라면, title=JS가 query다.
router.get('/', (req, res) => {
const { title } = req.query; // -> req.query.title
console.log(title); // JS
console.log(req.query); // { title: 'JS' }
});
velog에서 검색했을 때 나오는 경로의 q=JS
부분이 query다.
개인 정보를 POST하는 경우
{
"name": "chococheem",
"id": "choco123",
"age": 50
}
router.post('/', (req, res) => {
const { name, id, age } = req.body;
console.log(name); // chococheem
console.log(req.body); // { name: 'chococheem', id: 'choco123', age: 5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