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180 Academy의 강의를 요약한 글입니다.
소비자 대상의 서비스는 리텐션을 특정 기간 내에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비율로 정의합니다
리텐션 = 성장
리텐션의 종류
Flattening
더 높은 %에서 평평해질수록 더 '건강한 제품'
인더스트리나 제품에 따라 다를 수 있음
Declining
더 이상 성장할 수 없는 제품일 가능성이 큼
Smiling
네트워크 이펙트를 통한 하이퍼 Growth 단계
다만, 경쟁사에 의해서 리텐션이 0으로 수렴할 가능성이 큼
리텐션의 종류
1.N day 리텐션 - 일반적인 리텐션
2.Bracket -주 단위로 회복 정도를 봄
3.Unbounded - 시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진않지만 여행이나 구입주기가 긴 곳에서 사용
유저 유입에 대해 분석할 수 있음
1. 유저 유입이 좋은 경우 무슨 event가 있었을 수 있음
2. 안 좋았을 경우도 서버가 다운되는 등의 event가 있었을 수 있음
3. 구독형 비지니스 모델을 가진 서비스가 리텐션이 중요
초기 리텐션 증대 전략
1.세그먼트 파악 -클러스터링을 통해 세그먼트 파악
2.세그먼트 비교
3.우수한 세그먼트 분석 - 가장 리텐션이 높은 세그먼트를 분석하고 핵심 이벤트를 파악
4.다른 세그먼트에 인사이트 적용
• 리텐션은 제품을 사용하는 사람과 제품을 다시 사용할 정도로
제품을 좋아하는 사람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임
• 리텐션을 퍼널같이 생각해야함. 단기, 중기, 장기 리텐션을 나누고
코호트를 다수의 비율로 나누면 트렌드를 더 잘 파악할 수 있음
• 리텐션 증대를 위한 방법은 유저 종류에 따라 달라져야 함.
잔존한 유저의 인게이지먼트는 높아야 하고 신규 유저 온보딩에는 문제가
없어야함. 다양한 유저 행동 분석을 통해 이러한 것들을 분석할 수 있음.
세그먼트 분류를 통해 Favorite song이 있는 사람과의 리텐션 차이를 볼 수 있다
제품의 사용 간격 이해하기
Usage Interval view를 통해 critical event 수행한 사용자 분석하기
30일 간격으로 사용자의 절반은 재구매를 하는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