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을 위해서 IP주소가 배정되고 IP주소를 통해서 통신을 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문이 들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MAC Address를 사용합니다.
실질적인 통신은 바꿀 수 없는 하드웨어 주소인 MAC Address를 통해서 하고, 논리적인 IP Address는 라우팅(최적의 경로 찾기)을 위한 주소이기 때문에 둘다 사용합니다.
우리는 IP주소를 사용하니까 IP주소만 있으면 모든 통신이 일어날 것 같지만 사실은 IP주소를 다시 MAC으로 바꾸는 절차를 밟고 있습니다.
이 과정을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라고 합니다.
IP 주소 : 라우팅을 하기 위해 사용
MAC 주소: 이더넷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
랜선을 찾아가는 라우팅 기법은 패킷에 포함된 IP Address를 추적해서 최단 경로를 선택해 가게 되어있습니다. IP Address는 논리적인 주소이기 때문에 이 IP에서 IP Address로 목표된 네트워크로 추적해서 패킷을 보낸 뒤 그곳에서 그 IP에 등록된 MAC ADdress로 주소가 변환되어 그 컴퓨터로 패킷을 전송하게 됩니다.
→IP는 라우팅하는 주소이고 실질적인 통신은 MAC Address로 합니다!
집에서 naver.com의 웹서버를 찾는다고 가정하면, ISP 내의 모든 라우터들은 전 세계 모든 서버들의 MAC 주소를 다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즉, 하나하나 MAC 주소에 대해 라우팅 해주어야 합니다. 이건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IP 주소 체계는 변경 가능하고, IP주소는 연속성을 갖기 때문에 IP 주소 다수를 한 줄로 지정해줄 수 있어서 편리합니다. 즉, 라우팅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 MAC 주소는 하드웨어 고유 주소, 외우기 힘들고 라우팅도 힘듭니다!
사람의 주민등록번호는 MAC 주소, 사람의 이름은 MAC 주소에 매핑되는 IP 주소, 그 사람의 별명은 IP 주소와 매핑되는 호스트 이름이라고 생각해봅시다. 우리는 일상에서 누군가를 지목할 때, 그의 주민등록번호를 부르지 않습니다. 불편하고 외우기도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성과 이름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름도 외우기 어렵습니다. 길가다가 동창생을 만나면 이름은 기억 안나고 별명만 기억이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만큼 별명이라는 호칭이 더 표현하기 쉽고 외우기도 쉽습니다.
이 관계를 TCP/IP구조로 생각하자면,
주민등록번호: 03XXXX-XXXXXX MAC: 00-0C-29-00-11-22
이름: 홍길동 IP: 1.1.1.1
별명: 네이버 DNS: www.naver.com
라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