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에 투자 좀 한다는 사람들은 대부분 메타마스크(Metamask) 나 케플러(Keplr) 같은 개인지갑을 사용해 보았을 것이다.그리고 개인지갑을 처음에 생성할 때는 누구든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된다.1\. 니모닉 코드 생성2\. 비밀번호 생성3\. 개인 지갑
이제 아래 녀석들을 이용해서 간단한 니모닉 지갑을 개발해보자.node.jsreacteth-lightwallet 모듈과정은 다음 순서대로 해보겠다.서버 구성 (react)니모닉 및 지갑주소 API 작성테스트 및 결과 정리react 를 사용하여 결과를 테스트할 것이기 때문
이전 블로그를 이어나가겠다.남은 작업은 두 가지다. eth-lightwallet 모듈을 이용하여 API 를 만든다.니모닉 코드 발행 (requestMnemonic 함수)새 지갑주소 발행 (requestAcccount 함수)requestMnemonic() 코드App.js
클레이튼(Klaytn) 블록체인은 web3. js 대신 KAS 라는 별도의 툴을 제공한다.이번 블로깅에서는 KAS 를 이용하여 클레이튼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서버를 만들어 보겠다.서버는 아래 구성을 가진다.node.jsexpress.jscaver-js-ext-kas.js
이번 블로깅에서는 클레이튼 네트워크와 연동하는 몇 가지 API 를 express 서버에 개발해 보겠다.이전 블로깅 마지막에서 바오밥 테스트넷의 최근 블록주소값을 추출해 보았다.가장 최근에 생성된 블록 번호 확인하기latestBlock.js클레이튼 지갑 주소(EOA) 로
오픈씨(OpenSea) 는 현재 존재하는 NFT 마켓플레이스 중 가장 유명한 곳이다.https://opensea.io/이더리움 계열의 NFT 를 생성, 판매, 구매할 수 있는 곳이다~!!(클레이튼, 폴리곤도 지원)개인적으로도 몇 가지 NFT 를 오픈씨에서 구매
2주간 토이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목표는 ERC20 토큰 기반의 커뮤니티 사이트를 만드는 것이었다.이를테면 코박 커뮤니티와 비슷한 개념이다.Ganache (블록체인)web3.js (블록체인, 서버)node.js (서버, 클라이언트)express.js (서버, 클라이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