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 밸런싱 패턴

jihunnit·2023년 9월 1일
0

TIL

목록 보기
12/16

사용자가 많은 서비스의 경우 단일 서버를 사용하면
충돌 또는 성능 저하가 있을 수 있음
하지만, 서버 성능 올리기(스케일 업)은 한계가 있다.(비용, 장비 한계 등)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로드 밸런싱 패턴은 네트워크 요쳥과 이를 처리할 worker node 사이에 dispatcher를 둔다.

디스패처는 각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이용 가능한 워커 중 하나로 라우팅시킨다.

클라이언트의 수가 증가하거나 클라이언트의 요청 전송 속도가 빨리지면 더 많은 워커를 추가시키며 부하를 분산시킴
시스템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아도 확장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대표적으로 우리가 프론트엔드-백엔드로 이뤄진 웹에서 프론트엔드가 받은 사용자 요청을 중간에 있는 디스패처가 적절한 백엔드 노드에 전송한다고 보면 된다.


로드 밸런싱 패턴에는 두 가지 기법이 있다.

1. 클라우드 로드 밸런싱

관리형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여 요청을 처리한다. 특이 사항으로는 로드 밸런싱 역할을 하는 인스턴스 또한 한 개 존재할 경우 단일 장애점이 될 수 있으니 그룹화하여 존재하게 한다.

2. 메시지브로커/메시지 큐 등 사용

메세지브로커의 주 목적이 로드 밸런싱은 아니지만, 이를 적절히 활용할 경우 로드 밸런싱이 될 수 있다.

단방향으로 생산 및 소비가 정해져 있는 환경 혹은 비동기 통신 상황에서 유용하다.

주의사항으로, 메세지브로커는 반드시 서비스 간 내부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즉, 외부 서비스로부터 메시지를 받아서 전달하거나 하면 안된다.)

분산시스템에서 주로 구현하며, 메세지브로커의 일시적 장애는 큰 문제가 되지 앟는다.


이렇게 두 가지 로드 밸런싱 기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로드 밸런싱 기법에는 몇가지 주의사항들이 있다.

  1. 클라이언트에게 받은 요청을 로드 밸런서가 worker nodes에 라우팅할 때, 어떤 알고리즘을 사용하는지가 중요하다.
    대표적으로 이런 알고리즘들이 있다.
  1. Round Robin : 각각의 수신 요청을 연속적으로 다음 워커 인스턴스에 라우팅 -> stateless 할 때만 정상 작동
  2. Sticky sessio : 특정 클라이언트 요청을 특정 워커 노드에 라우팅 -> 요청들이 전반적으로 짧은 세션일 때 유용
  3. Least Connection : 현재 가장 적은 요청을 처리하고 있는 worker node로 라우팅 -> 장시간 연결하는 SQL, LDAP 등
  1. 오토 스케일링으로 로드 밸런싱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트래픽이 높을 때 자동으로 시스템 확장하여 대응, 낮을 때 시스템을 축소하여 비용 절감할 수 있다.
profile
인간은 노력하는 한 방황한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