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끼리 정보를 교환할 때 데이터의 형식이나 통신 순서 등을 미리 일치 시킨다.
이것은 프로토콜 이라고 한다.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al) / (Interent Protocal)
웹에서 사용하는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al) → HTTP는 TCP/IP 표준 계열에 속해 있다.
파일을 주고 받을 때 사용하는 FTP (File Transfer Protocal)
이 있다.
인터넷 상에서 특정 컴퓨터나 서버 (서버도 컴퓨터이다) 를 찾기 위해서는 다음 두 가지 타입의 주소가 사용된다.
IP 주소 (Internet Protocal Address)
0.0.0.0 ~ 255.255.255.255 로 표현되며, IPv4 및 IPv6가 사용된다.
도메인 네임 (Domain Name)
외우기 어려운 IP 주소를 사람이 기억하기 쉬운 문자 형태로 표현한 주소 → naver.com
컴퓨터는 문자 형태로 된 주소를 이해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도메인 네임을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때, 이를 한 쌍으로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DNS라고 부르며, 변환 과정은 네트워크 내부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동작 순서
웹 브라우저 : 클라이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