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06.19 CS Study - 컴퓨터 네트워크
🚩 주제 : 컴퓨터 네트워크의 개념과 TCP/IP 계층 구조
📘 참고 서적 : TCP/IP 쉽게, 더 쉽게 - 리브로웍스
컴퓨터 네트워크는 여러 대의 컴퓨터가 서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하는 연결망이 구축된 것을 말한다. 네트워크 중 가장 규모가 큰 것이 인터넷이다. 전파로 통신하는 무선 네트워크 혹은 모바일 네트워크도 네트워크의 한 종류이다.
https://en.wikipedia.org/wiki/Client%E2%80%93server_model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들 중 서비스를 제공하는 쪽을 서버라고 하고, 서비스를 제공받는 쪽을 클라이언트라고 한다. 웹, 메일, FTP(File Transfer Protocol) 등의 서비스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구조를 가진다. Peer-to-Peer(P2P)방식은 두 대의 컴퓨터가 서버, 클라이언트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통신 방식이다. 이는 주로 인터넷 전화(VoIP) 등에 활용된다.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작은 단위로 쪼개야한다. 그러한 작은 단위를 패킷(Packet)이라고 한다. 아날로그 방식에서는 일대일로 통신하는 회선 교환 방식을 사용했다. 패킷 교환 방식은 통신 경로를 공유하며 패킷을 전송하기 때문에 다대다 통신이 가능하다.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통신 프로그램을 쉽게 유지보수 하기 위해 통신 계층을 추상화 한 것을 계층 모델이라고 한다. 대표적으로 OSI 7계층 구조와 TCP/IP 4계층 구조가 있다. TCP/IP 4계층 구조는 OSI 7계층 구조를 간소화한 형태이다.
한 계층에서 다른 계층으로 이동할 때는 필요한 정보를 헤더 혹은 트레일러에 포함하여 전송한다.
지금의 컴퓨터 네트워크는 대부분 TCP/IP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OS나 통신 서비스 제공자가 달라도 통신이 가능하다.
https://www.imperva.com/learn/application-security/osi-model/
TCP/IP 계층 구조는 4계층으로 이루어져있다. 1계층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2계층은 인터넷 계층, 3계층은 트랜스포트 계층, 4계층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이다. 각 계층은 자신이 맡은 역할을 수행한다.
1계층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2계층 : 인터넷 계층
3계층 : 트랜스포트 계층
4계층 : 애플리케이션 계층
컴퓨터가 통신할 때 지켜야하는 절차나 규약을 프로토콜(protocol)이라고 한다.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은 프로토콜에 맞추어 동작해야한다. TCP/IP 구조의 각 계층은 각각의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계층 | 프로토콜 |
---|---|
어플리케이션 | HTTP, SMTP, FTP, SSH, DNS... |
트랜스포트 | TCP, UDP |
인터넷 | IP, ICMP, IPsec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ARP, 이더넷, PPP |
1. 데이터그램 패킷 교환(Datagram packet switching)
2. 가상 회로 패킷 교환(Virtual circuit packet switching)
++
아래 영상을 참고하면 동작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Packet switching - Datagram networks - Computer Networks
Virtual circuit approach - Switching - Lecture 17-Computer Networks
참고 자료
데이터 교환 방식
데이트그램과 가상회선
What is the concept of datagram packet switching?
Difference between Datagram Switching & Virtual Circu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