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7-05 코드업 100제 - Python

김지현·2021년 7월 6일
0

CodeUp

목록 보기
1/5
post-thumbnail

🖥[6001번~6050번]

원래는 객체 지향 언어보다 단순하다고 느낀 C언어를 선호했다. 코딩 하면서 사람마다 코딩 취향도 코드 짜는 스타일도 진짜 다른 게 너무 신기하다. 아무튼 코딩 테스트와 자료구조, 알고리즘을 공부하면서 파이썬 언어를 선택하였다.

개인적으로는 문법의 간결성 보다도 작업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어 생산성이 높고, 자동화 작업에 최적화 되어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인 듯 하다. 최근 삼성 역량 테스트에도 Python 언어가 추가된 것으로 보아 앞으로도 사용이 더욱 늘어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본격 알고리즘에 들어가기 전 문법을 한번 훑고자 코드업 100제를 풀고 있다.
생각보다 빠르게 떠오르지 않았던, 헷갈렸던 개념들을 정리해 보겠다.


1. Split

Split이란 '분할'
즉, Split은 메서드 안에 지정한 문자열을 기준으로 문자를 자르는 것

ex) input().split() 를 사용하면, 공백을 기준으로 입력된 값들을 나누어(split) 자른다.

Q. 공백을 두고 입력된정수(integer) 2개를 입력받아 줄을 바꿔 출력해보자.

a,b=input().split()
print(a)
print(b)

2. sep

  • input().split(':') 를 사용하면 콜론 ':' 기호를 기준으로 자른다.
    print(?, ?, sep=':') 를 사용하면 콜론 ':' 기호를 사이에 두고 값을 출력한다.
    sep 는 분류기호(seperator)를 의미한다/ sep='' -> 공백 없이 출력 할 수 있다.
    **
  1. [:]**
    s[a:b] 라고 하면, s라는 단어에서 a번째 문자부터 b-1번째 문자까지 잘라낸 부분을 의미한다

4. 진수 변환

%x로 출력하면 16진수(hexadecimal) 소문자로 출력
%o로 출력하면 8진수(octal) 문자열로 출력

5. ord, chr


ord( ) 는 어떤 문자의 순서 위치(ordinal position) 값을 의미한다.
실제로 각각의 문자들에는 연속된 정수 값이 순서에 따라 부여 되어 있다.
A:65, B:66, C:67 .... (아스키 코드)
ord(c) : 문자 c 를 10진수로 변환한 값
chr( )는 정수값->문자, ord( )는 문자->정수값 형태로 바꿔주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바꾸어 주는 기능을 한다.

6. format(수, ".2f")
format(수, ".2f") 를 사용하면 원하는 자리까지의 정확도로 반올림 된 실수 값을 만들어 준다.
여기서 만들어진 값은 소수점 아래 3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이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 실수 변환이나 실수를 사용하는 계산은
정확하게 변환되거나 계산되는 것이 아니라, 거의 모두 근사값으로 계산되는 것이다.

실수가 컴퓨터로 저장되기 위해서는 디지털방식으로 2진 정수화되어 저장되어야 하는데,
그 과정에서 아주 작은 부분이 저장되지 않고 사라지는 잘림(truncation) 오차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이다.

출처 : https://www.codeup.kr/index.php)

profile
Programmer & Media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