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기초 3탄

Jinsung·2021년 4월 10일
0

JAVA

목록 보기
6/12
post-thumbnail

조건문

조건문이란 특정 조건이 맞아 떨어지면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

대표적으로 if문, if - else, if - else if - else, switch문이 있다.

if 문

if(조건식) {
조건식이 true일때 아래 실행문 동작
조건식이 false면 미실행
}

package project;

public class MainClass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10;
		
		if(a == 10) { // a가 10일때 밑에 명령어 실행
			System.out.println("정답");
		}
		if(a != 10) { //a가 10이 아닐때 밑에 명령어 실행
			System.out.println("노답");
		}


		 
 }
}

결과값

정답

if - else 문

if(조건식) {
조건식이 true일때 실행문 동작
} else {
조건이 false일 경우 실행
}

if - else 문은 삼항연사자(조건식? 식1:식2)로 대체될 수도 있습니다.

 package project;

public class MainClass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10;
		

		
		if(a == 11) { // a가 11일때 밑에 명령어 실행
			System.out.println("정답");
		}else { // a가 11이 아닐때 명령어 실행
			System.out.println("노답");
		}
		 
 }
}

결과값

노답

if - else if - else 문 문

if(조건식1) {
조건식1이 true일때 실행문 동작
} else if(조건식2){
조건식2이 true일때 실행문 동작
} else if(조건식3){
조건식3이 true일때 실행문 동작
}
else {
위 조건이 다 false일 경우 실행
}

만약 조건식1, 조건식2, 조건식3에 조건이 충족 하더라도 맨 앞에 있는 조건식1에서 조건이 맞으면 실행문을 동작하고 조건문에서 빠져나온다.

package project;

public class MainClass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90;

		
		if(a >= 90) { // a가 9보다 작을때(조건식1)
			System.out.println("A");
		}else if(a >= 80) { // a가 11이 아닐때 명령어 실행
			System.out.println("B");
		} else if(a >= 70) { // a가 11이 아닐때 명령어 실행
			System.out.println("C");
		} else {
			System.out.println("F");
		}	 
}
}

결과값

A

switch 문

swtich(변수){
case 값1: //변수 값1과 동일할 경우 실행
break;
case 값2: //변수 값1과 동일할 경우 실행
break;
default; // 변수값이 모두 아닐경우 실행
}

package project;

public class MainClass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3;

		
		switch (a) {
		case 1 :
			System.out.println("1월");
			break;
		case 2 :
			System.out.println("2월");
			break;
		case 3 :
			System.out.println("3월");
			break;
		case 4 :
			System.out.println("4월");
			break;
		case 5 :
			System.out.println("5월");
			break;
		case 6 :
			System.out.println("6월");
			break;
		default :
			System.out.println("6월 이상");
			
			
		}
 }
}

결과값

3월

반복문

반복문이라는 말 뜻을 그대로 풀이하면 말그대로 조건이 참일 때까지 반복하는 명령어이다. 다르게 해석하면 조건이 맞지 않을때까지 반복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반복문에는 for 문과 while 문, do while문이 있다.

for 문

for(int a = 1; a < 10; a++) {
실행문
}
a가 1부터 10보다 작을때까지 a에 1씩 더해가며 프로그램 반복 진행
int a = 1 : 변수를 정의
a < 10 : 조건
a++ : 어떻게 업데이트 할지

package project;

public class pj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or(int a =1;a<10;a++) {
			System.out.printf("a = "+ a+"\n");
	
		}
	}

}

결과값

a = 1
a = 2
a = 3
a = 4
a = 5
a = 6
a = 7
a = 8
a = 9

다중 for 문

for(int a=0;a<10;a++) {
for(int a=0;a<10;a++) {
실행문
}
}

대표적으로 구구단으로 예시를 많이 합니다.

package project;

public class pj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or(int a =2;a<10;a++) {
			System.out.println(a +"단");
			for(int b = 1;b<10;b++) {
				System.out.println(a + "*"+ b +"="+ (a*b)+"\n");
			}
			
		}
		
	}
}

결과값

2단
2*1=2

2*2=4

2*3=6

2*4=8

2*5=10

2*6=12

2*7=14

2*8=16

2*9=18

3단
3*1=3

3*2=6

3*3=9

3*4=12

3*5=15

3*6=18

3*7=21

3*8=24

3*9=27

*
*

while 문

int a=0
while(a<10){
실행문
a++
}
int a=0 : 변수 선언
while(a<10) : 조건
a++ : 변수 업데이트

package project;

public class pj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a=1;
		
		while(a<10) {
			System.out.println("a ="+ a);
			a++;
		}	
	}
}

결과값

a =1
a =2
a =3
a =4
a =5
a =6
a =7
a =8
a =9

do ~ while 문

do {
조건문이 true일때 반복실행시킬 명령(반복실행문)
} while (조건)
조건 결과에 상관없이 무조건 최초한번은 실행문 수행

package project;

public class pj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a=1;
		
		do {
			System.out.println("a ="+ a);
			a++;
		}
		while(a<10);
		    System.out.println("끝");	
	}
}

결과값

a =1
a =2
a =3
a =4
a =5
a =6
a =7
a =8
a =9
끝
참조사이트 http://www.tcpschool.com/java/java_control_loop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