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를 듣는중 cookie-parser, express-session npm을 설치하면서 세션에 쿠키가 포함되어 있다는 말이 정확하게 이해가 안되서 알아봤다.
HTTP의 일종으로 사용자가 어떠한 웹 사이트를 방문할 경우,
그 사이트가 사용하고 있는 서버에서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하는 작은 기록 정보 파일이다.
HTTP에서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클라이언트의 PC에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정보를 참조하거나 재사용할 수 있다.
예시) 사이트 방문 기록, 특정 사이트에서 아이디,비밀번호 저장기능
일정 시간 동안 같은 사용자(브라우저)로부터 들어오는 일련의 요구를 하나의 상태로 보고, 그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술로, 일정 시간이란 방문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서버에 접속한 시점부터 웹 브라우저를 종료하여 연결을 끝내는 시점을 말한다.
즉, 방문자가 웹 서버에 접속해 있는 상태를 하나의 단위로 보고 그것을 세션이라고 한다.
예시) 브라우저를 종료하거나 로그아웃을 누를때 까지 로그인 정보가 유지됨
쿠키와 세션은 비슷한 역할을 하며, 동작 원리도 비슷하다. 그 이유는 세션도 결국 쿠키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쿠키와 세션의 큰 차이점은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위치이다. 쿠키는 서버의 자원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며, 세션은 서버의 자원을 사용한다.
노드에서 서버를 만들면서 이런 코드를 쓰다가 쓰임을 예시와 함께 조금 더 정확하게 파악해봤다.
express.json() 또는 body-parser 과 같은 미들웨어가 만드는 요청의 본문을 해석한 객체이다. POST 방식으로 넘어오는 데이터를 담는다. 웹에서 로그인을 한다거나, 게시글을 작성하면 그 데이터를 post 요청으로 넘겨주는데 그 데이터가 담긴 객체라고 보면 된다.
라우트 매개변수에 대한 정보가 담긴다. 예를 들어 /category/:name 경로가 있으면 'name' 속성을 req.params.name으로 사용할 수 있다. 'https://test/category/gift' 의 경우 req.params.name은 gift다.
GET방식으로 넘어오는 데이터, 쿼리스트링의 정보가 담긴다.
예를 들어 https://test/category?gift=coffee 이면
gift 매개변수(parameter)의 coffee 이라는 값(argument)을 가져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