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엔 js 아주 기본적인 것들을 배웠다. 그중 첫번째인 변수에 대한 목표를 살펴보자
- 변수 기초, 변수 실습
-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의 선언과 값의 할당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 변수 선언과 값 할당에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 수 있다.
- = 가 "같다"라는 의미가 아니라 할당연산자임을 이해할 수 있다.
- num = num + 1이 "같다"라는 의미가 아니라 값을 할당하는 것임을 설명할 수 있다.
변수에서 가장 기초적인 부분인 선언/할당 이 부분이 초반에 잘 잡혀있지 않아서 선언과 할당을 헷갈려했다. 선언은 let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하며 딱 한번만 가능하다. 할당은 같다 라는 뜻이 아니라 대입(assign)으로 봐야한다.
하지만 문제를 풀어가면서 이 개념은 확실하게 잡힌 듯 하다. 변수는 쉽게 정의하자면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값이다.
ex)
변수를 goal 이라고 가정해보자
- let goal; 👉 이것은 변수 선언
- let goal = 'mine' 👉 이것은 goal 이라는 변수에 mine 을 할당
📢 변수명엔 공백을 쓸 수 없다.
ex) let widthOfSquare = 5
📢 표현식이란 변수와 특정값을 이용해서 연산하는 한줄 한줄을 일컫는다.
또한 할당이 없는 변수는 undefined(정의되지 않았다)라는 값을 가지게 된다.
우선 타입 챕터에 대한 학습 목표는 이러하다
- 자바스크립트에서 원시 자료형과 참조 자료형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 원시 자료형 string, number, boolean, undefined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 타입마다 다른 속성과 메소드가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 typeof 를 활용하여 특정 값의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 비교 시 엄밀한 비교( === 과 !== )의 필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
변수에는 다양한 타입이 있는데 숫자타입/문자열/불리언/자료형 으로 볼 수 있다. 그 이외에 undefined 와 함수도 타입이라고 한다. 더 자세한 예시는 아래를 보도록 한다.
- ex) let pi = 3.14592; 👉 이것은 숫자타입
- ex) let goal = 'mine' 👉 이것은 문자타입(문자열에서는 세미콜론)
- ex) boolean 👉 불리언 타입은 true / false 를 판단하는 타입
- ex) let fruits = [ 'banana', 'mango' , 'apple'] 👉 _배열 (자료형)
- ex) let person = { name: 'Steve', age : 32, isStudent: true
}; 👉 _객체 (자료형)
아 함수라는 개념.. 비전공자인 나는 개념이 잘 잡히지 않아서 정말 힘들었다. 아래 그림을 예시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우리가 어떠한 기계를 만든다고 가정했을 때, 기계는 function이라고 일컫는다. 그리고 앞으로 만들 기계의 이름은 바로 mulTablePrinter라고 이름 붙여준것이다. 그리고 괄호 안에 있는 num으로 파라미터다. 파라미터는 매개변수로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데이터라고 볼 수 있다.
📢 위 그림을 예시로 명칭을 알아본다면?
- function 은 기계
- mulTablePrinterd은 이름
- num 은 파라미터(매개변수)
- body는 기계 안에 있는 표현식들
위 그림이 더 정확하게 설명하고 있는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