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구조/알고리즘] 211008 자료구조 Graph 기초개념 복습

밍징·2021년 10월 8일
0

개념복습_ver.

목록 보기
21/30
post-thumbnail

📌 Graph

스택과 큐와 달리 개념이 한번에 와닿지 않는게 바로 Graph 와 Tree 이다. BST는 개념도 이해가 잘 안된다..ㅎㅎ 기본적으로 생각하는 x , y축 그래프의 모양새가 아니라 복잡한 네트워크 망의 모양새이다.

☑ 그래프 실사용 예제

  • 포털 사이트의 검색 엔진
  • SNS에서 사람들과의 관계
  • 네비게이션 (길찾기) 등에서 사용하는 자료구조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경우 두 점 사이를 이어주는 선이 있고, 간접적인 관계라면 몇 개의 점과 선에 걸쳐 이어진다. 하나의 점을 그래프에서는 정점(vertex)이라고 표현하고, 하나의 선은 간선(edge) 이라고 표현한다.

  • 가중치 그래프 : 서울 부산 간선으로 연결되어있다/연결되어 있지 않다 정도만 나타내는 그래프
  • 비가중치 그래프 : 서울에서 대전까지는 140km 떨어져있다.

☑ 인접행렬

두 정점을 바로 이어 주는 간선이 있다면 이 두 정점은 인접하다고 표현한다. 인접 행렬은 서로 다른 정점들이 인접한 상태인지를 표시한 행렬으로 2차원 배열의 형태로 나타낸다. 만약 A라는 정점과 B라는 정점이 이어져 있다면 1(true), 이어져 있지 않다면 0(false)으로 표시한다.

인접행렬 예시

  • 한 개의 큰 표와 같은 모습을 한 인접 행렬은 두 정점 사이에 관계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기에 용이.
    예를 들어, A에서 B로 진출하는 간선이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선 0 번째 줄의 1 번째 열에 어떤 값이 저장되어있는지 바로 확인가능.
  • 가장 빠른 경로(shortest path)를 찾기.

☑ 인접리스트

인접 리스트는 각 정점이 어떤 정점과 인접한지를 리스트의 형태로 표현.

인접 리스트는 언제 사용할까?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싶을 때 인접 리스트를 사용.
(인접 행렬은 연결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저장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메모리를 많이 차지)

profile
프론트엔드를 공부하고 있는 디자이너 입니다 :D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