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

저장장치

모든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메인 메모리에 있다면 아주 빠른 연산이 가능하겠지만, 가격에 비해 용량도 너무 작고 휘발성 메모리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렵다.
저장장치 시스템은 다음 조건에 따라 계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 속도
  • 비용
  • 휘발성

비쌀수록 빠르고 작고, 저렴할수록 느리고 크다.

구성 방식에 따른 스토리지 구분

DAS(Direct Attached Storage)
: 서버가 채널(SCSI or 광섬유)을 통해 저장장치에 직접 연결하는 방식

  • 서버가 채널을 통해 저장장치에 직접 연결하는 방식
  • 연결 방식이 어려운 편은 아니고 속도도 빠른 편
  • 연결 갯수나 확장에 물리적인 한계가 있고, 연결이 1:1인 경우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NAS
: 서버와 저장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

  • LAN은 TCP/IP 프로토콜 기반, 저장장치는 SCSI 사용
  •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기 때문에 DAS처럼 물리적인 한계가 있지 않음
  • 연결 수가 늘어날수록 성능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NAS 활용예시

  • L4 스위치 : 해싱 등 알고리즘으로 Web server의 부하를 분산시키고 관리하는 역할
  • 정적 리소스를 처리하는 WEB Server
  • 동적 리소스를 처리하는 WAS Server

    여기까지만 봤을때는 일반적인 backend application 구조와 크게 다르지 않다 (ex. spring)

그런데 여기서 NAS가 없는채로 운영이 된다면 이런 사태가 발생할수도 있다.

  • L4 → WEB #2 → WAS #1 → DB #2 경로로 DB에 데이터를 저장
  • L4 → WEB #2 → WAS #1 → DB #1 경로로 DB에서 데이터 탐색
    • 저장할때는 DB #2였는데 탐색할 때는 DB #1이면, 데이터를 찾을 수 없다.
      NAS가 있다면 어떤 Web server, WAS Server로 접속하더라도 동일하게 NAS Server에 접근하고 데이터를 탐색할 수 있다.

SAN
: 서버와 저장장치를 광섬유 스위치로 연결한 고속 데이터 네트워크
확장성, 유연성, 가용성이 우수하고 특히 대규모 DB 등을 설계할 때 유리하다.

DAS NAS SAN 차이점 정리


나는 회사에서 인프라,서비스 운영 일을 하고 있는데, 회사를 다니면서 NAS를 처음 봤고 설치해 본적이 있다. 네트워크 연결이나 초기셋팅에 크게 어려움은 없지만 완전 새 NAS의 경우 디스크볼륨을 생성하는부분이 힘들었는데, 이번 챕터가 크게 도움이 될 것 같다. 사실 이직 면접준비를 위해 잊어버렸던 CS의 지식들을 다시 되살려보자가 나의 주 목표였는데 현재 회사 업무에도 적용할 수 있는 내용들이 있어 좋은 것 같다. 그리고 운영체제를 강의해주시는 분이 아키텍쳐라 그런지 수업외 경험등의 이야기들이 도움이 된다. 학교에서 이론적으로 배울때는 이해가 가지 않았던 부분이 많았는데 실무적으로도 풀어내주어서 이해가 좀 더 잘 되는 것 같다. 강의를 들으면서 좀더 중요하다 생각하는 부분은 알아서 더 찾아서 깊게 공부해야겠지만 전체적인 운영체제 흐름을 이해하기에 괜찮은 강의라고 생각한다. (아직 1/4밖에 안보긴함~ ㅎㅎ)

https://bit.ly/3FVdhDa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profile
Devops, AWS에 관심있어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