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applicationContext.xml

김진서·2024년 3월 2일
1

Spring MVC

목록 보기
7/9
post-thumbnail

applicationContext.xml

Spring 애플리케이션의 주요 설정 파일 중 하나. 이 파일은 Spring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구성하고 빈(bean)을 정의하는 데 사용.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1. XML 네임스페이스 및 스키마: XML 파일의 맨 위에는 XML 네임스페이스 및 스키마가 정의. 이를 통해 Spring 프레임워크가 XML 파일을 올바르게 구문 분석하고 해석할 수 있다.
  2. <context:component-scan>: 지정된 패키지와 하위 패키지에서 Spring 컴포넌트를 검색하고 등록. @Component,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등의 어노테이션이 있는 클래스를 찾는다.
  3. <bean> 요소: Spring Bean을 정의하는 데 사용. 각 Bean은 id 속성을 사용하여 고유하게 식별되며, class 속성을 사용하여 해당 Bean의 클래스를 지정. 또한 다양한 프로퍼티(property)를 설정하여 의존성 주입 및 기타 설정을 지정할 수 있다.
  4. <property> 요소: Bean의 프로퍼티 값을 설정하는 데 사용. 각 프로퍼티는 name 속성을 사용하여 해당 Bean 클래스의 속성을 지정하고, value 속성을 사용하여 해당 속성의 값을 지정.
  5. <context:property-placeholder>: 외부 속성 파일의 값을 읽어와서 Bean의 프로퍼티로 설정하는 데 사용. 주로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나 다른 환경 설정과 관련된 값들을 외부 파일에 저장하고 이를 읽어와서 설정.
  6. 다른 Spring 기능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요소들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AOP(Aspect-Oriented Programming) 설정, JMS(Java Message Service) 연결, 이메일 발송 설정 등이 있을 수 있다.

-> applicationContext.xml 파일은 Spring 애플리케이션의 주요 구성 파일 중 하나로, 애플리케이션의 구조와 동작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Spring 프로젝트 applicationContext.xml (+ JPA, MySQL, Hibernate)

<?xml version="1.0" encoding="UTF-8"?>
<beans xmlns="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mlns:context="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context"
       xsi:schemaLocation="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beans/spring-beans.xsd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context
       http://www.springframework.org/schema/context/spring-context.xsd">

    <!-- 환경변수 설정 -->
    <context:property-placeholder location="classpath:database.properties"/>

    <!-- DataSource 설정 -->
    <bean id="dataSource" class="org.springframework.jdbc.datasource.DriverManagerDataSource">
        <property name="driverClassName" value="${jdbc.driverClassName}"/>
        <property name="url" value="${jdbc.url}"/>
        <property name="username" value="${jdbc.username}"/>
        <property name="password" value="${jdbc.password}"/>
    </bean>


    <!-- Hibernate Session Factory 설정 -->
    <bean id="entityManagerFactory" class="org.springframework.orm.jpa.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
        <property name="dataSource" ref="dataSource"/>
        <property name="packagesToScan" value="org.example.entity"/>
        <property name="jpaVendorAdapter">
            <bean class="org.springframework.orm.jpa.vendor.HibernateJpaVendorAdapter" />
        </property>
        <property name="jpaProperties">
            <props>
                <prop key="hibernate.hbm2ddl.auto">${hibernate.hbm2ddl.auto}</prop>
                <prop key="hibernate.dialect">${hibernate.dialect}</prop>
                <prop key="hibernate.cache.use_second_level_cache">${hibernate.cache.use_second_level_cache}</prop>
                <prop key="hibernate.cache.use_query_cache">${hibernate.cache.use_query_cache}</prop>
<!--                <prop key="hibernate.show_sql">${hibernate.show_sql}</prop>-->
            </props>
        </property>
    </bean>

    <!-- Hibernate Transaction Manager 설정 -->
    <bean id="transactionManager" class="org.springframework.orm.jpa.JpaTransactionManager">
        <property name="entityManagerFactory" ref="entityManagerFactory" />
    </bean>

    <!-- Exception translation bean -->
    <bean class="org.springframework.dao.annotation.PersistenceExceptionTranslationPostProcessor" />
</beans>

Spring 프레임워크에서 사용되는 주요 구성 요소들을 정의하고 있다. Spring 애플리케이션의 설정을 담당하며, 주로 데이터베이스 연동과 관련된 설정을 포함. 아래는 해당 파일의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다:

  1. <context:property-placeholder>: 외부 속성 파일(database.properties)에서 값들을 읽어와서 Bean의 프로퍼티로 설정.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와 같은 중요한 설정 값을 외부 파일에 저장하고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2. <bean id="dataSource" class="org.springframework.jdbc.datasource.DriverManagerDataSource">: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위한 DataSource를 설정. JDBC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결을 담당. driverClassName, url, username, password와 같은 속성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를 설정.
  3. <bean id="entityManagerFactory" class="org.springframework.orm.jpa.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 JPA를 사용하는 Hibernate 세션 팩토리를 설정. DataSource를 설정하고 Entity 클래스들이 위치한 패키지를 지정. 또한 HibernateJpaVendorAdapter를 통해 Hibernate의 설정을 지정하고, hibernate의 다양한 속성들을 설정.
  4. <bean id="transactionManager" class="org.springframework.orm.jpa.JpaTransactionManager">: JPA를 사용하는 Hibernate 트랜잭션 매니저를 설정. entityManagerFactory를 주입하여 사용. 이를 통해 Spring의 트랜잭션 기능을 활성화하고,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을 관리.
  5. <bean class="org.springframework.dao.annotation.PersistenceExceptionTranslationPostProcessor" />: 예외를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빈을 설정. PersistenceExceptionTranslationPostProcessor는 JPA 예외를 Spring의 DataAccessException으로 변환하여 처리.

정리
Spring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베이스와의 연동을 구성하고,
JPA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

profile
PAy IT forwaRD를 실천하는 프론트엔드 개발자. 근데 이제 백엔드를 곁들인..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