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프로그램은 서로의 기능을 공유하고 활용하기 위해 여러 소프트웨어를 함께 사용합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들은 서로에게 의존하여 작동하며, 서로의 버전에 따라 호환성이 결정됩니다. 마치 레고 블록처럼 서로 다른 버전의 블록들이 맞지 않으면 문제가 발생하는 것처럼, 소프트웨어 버전도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의존성 지옥이라는 문제에 빠질 수 있습니다.
1.1 의존성 지옥(Dependency Hell)이란?
의존성 지옥은 서로 다른 버전의 소프트웨어들이 서로 의존하면서 호환되지 않아 문제가 발생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1.2 의존성 지옥의 문제점
업그레이드 어려움 - 특정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하면 의존하는 다른 소프트웨어들도 함께 업그레이드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개발 및 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버전 충돌 - 여러 버전의 소프트웨어가 동시에 실행될 때 예상치 못한 오류나 시스템 충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안 취약점 - 오래된 버전의 소프트웨어는 보안 취약점이 있을 수 있어, 시스템 보안에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1.3 의존성 지옥 발생 원인
계획 부족 - 소프트웨어 버전 관리 계획이 없이 개발 및 배포를 진행하면 의존성 지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의존성 관리 도구 부족 - 의존성 관계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는 도구를 사용하지 않으면 의존성 지옥을 방지하기 어렵습니다.
커뮤니케이션 부족 - 개발자 간의 의사소통 부족으로 인해 버전 관리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동일한 패키지의 여러 버전 사용 - 프로젝트에서 동일한 패키지의 여러 버전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 버전 충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패키지 호환성 문제 - 서로 호환되지 않는 버전의 패키지를 사용하면 의존성 지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용하지 않는 패키지 유지 - 실제로 사용하지 않는 패키지를 프로젝트에 포함하면 불필요한 의존성이 증가하고, 관리 부담이 가중될 수 있습니다.
업데이트 부족 - 패키지 업데이트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지 않으면 오래된 버전의 패키지에 의존하게 되어 보안 취약점 및 버그 발생 위험이 증가합니다.
2. 의존성 지옥 해결 방안
2.1 시멘틱 버전 관리(Semantic Versioning, SemVer)
시맨틱 버전 관리 (SemVer)는 소프트웨어 버전을 명확하고 일관되게 표현하기 위한 규칙입니다. SemVer 규칙을 사용하면 버전 번호를 통해 변경 사항의 영향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의존성 지옥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시맨틱 버전 관리(SemVer)에서 0.0.0에서 1.0.0으로 버전이 바뀌는 것은, 프로그램이 공개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수준이 되었음을 나타냅니다. 이는 곧 API가 안정되고, 주요한 기능들이 구현되어 사용자들에게 제공될 준비가 되었다는 뜻입니다. 이 때, 1.0.0 버전은 프로그램의 첫 번째 공식 릴리즈를 의미하게 됩니다.
특정 버전으로 패키지를 배포한 후에는 해당 버전의 내용을 절대로 변경해서는 안 됩니다. 만약 변경사항이 있다면, 반드시 새로운 버전으로 배포해야 합니다. 이는 패키지의 안정성을 보장하고 사용자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한 중요한 원칙입니다.
2.1.1 SemVer 규칙 구성 요소
Major (주 버전, 主)
API 호환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경 사항을 나타냅니다. 주 버전이 증가하면 이전 버전과의 호환성이 보장되지 않습니다.
버전이 증가할 경우 Minor, Patch 버전은 0으로 초기화됩니다.
Minor (부 버전, 部)
새로운 기능 추가와 관련됩니다. 부 버전이 증가하면 이전 버전과의 호환성은 유지되지만 새로운 기능이 추가됩니다.
버전이 증가할 경우 Patch 버전은 0으로 초기화됩니다.
Patch (수정 버전, 修)
버그 수정과 관련됩니다. 기존 버전과 호환되는 버그 수정이 이루어졌을 때 증가합니다. 이는 기존 코드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버그들이 수정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1.2 시멘틱 버전 관리의 장점
버전 번호를 통해 변경 내용의 범위를 명확하게 전달 : 사용자와 개발자가 버전 업그레이드의 영향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합니다.
호환성 보장 : 주(主) 버전의 번호 변경은 API 호환성 변경을 의미하며, 부(部) 버전의 번호 변경은 새로운 기능 추가를 의미하며, 수(修) 버전의 번호 변경은 버그 수정을 의미하도록 합니다.
의존성 관리 용이화 : 버전 번호를 통해 소프트웨어 간의 호환성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의존 관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2.1.3 사전 릴리즈 (Pre-release)
사전 릴리즈(pre-release) 버전은 아직 안정적인 릴리즈가 아니지만, 테스트나 피드백 목적으로 공개되는 버전을 의미합니다. 이는 릴리즈 버전에 추가적인 라벨을 붙여 표현하며, 예를 들어 1.0.0-alpha, 1.0.0-beta.1, 1.0.0-rc.1 등의 방식으로 표현합니다. alpha, beta, rc 등은 각각 알파테스트, 베타테스트, 릴리즈 후보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사전 릴리즈 버전은 주, 부, 수정 버전 이후에 하이픈(-)과 함께 표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