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기초 사용법 #2

백승진·2020년 10월 7일
0

GIT

목록 보기
2/3

git 기본 사용법

  1. 버전 관리하고자 하는 경로를 git 명령을 통해 저장소로 만든다.
  2. 생성한 file 또는 directory를 저장소가 인지할 수 있도록 Add 처리.
  3. 저장소가 인지하는 대상은 commit 처리를 통해 Tag를 할당하고 버전 관리됨.

    git 설치는 https://git-scm.com/ 에서 프로그램 다운로드 및 설치 후 CLI 에서 "git" 명령 실행 통해 동작 여부 확인.

CLI git commands

  1. 버전 관리를 하고자 하는 Directory 로 이동, "git init" 명령을 실행하여 저장소로 만든다. 정상 처리되었다면 해당 경로상에 ".git" 폴더가 생성됨.
  2. "git add 대상" 명령을 통해 경로안에 있는 파일을 staging 으로 등록
  3. "git commit -m 'tag메시지'" 명령으로 repository 에 버전 등록
  4. "git status" 명령으로 현 저장소에 있는 file 들이 어떤 상태인지 확인 가능
  5. "git log" 실행시 버전관리 history 확인 가능. --stat 옵션 추가시 버전별 파일 정보까지 상세히 볼 수 있음.
  6. "git checkout [ID]" 실행시 HEAD를 해당 버전으로 이동하며 물리적으로도 파일이 되돌려 진다.
  7. "git reset --hard [ID]" 실행시 해당 ID로 HEAD가 이동하며 그 이후 버전들은 삭제처리 됨. (ID 없이 명령을 실행하면 현재 작업하던 내용을 전부 마지막 버전 상태로 초기화 하는 방식으로도 사용함)
  8. "git rm --cached [FileName]"

잘못올린 Folder/File 삭제 commands

참고 사이트

// 원격 저장소와 로컬 저장소에 있는 파일을 삭제한다.
$ git rm [File Name]
// 원격 저장소에 있는 파일을 삭제한다. 로컬 저장소에 있는 파일은 삭제하지 않는다.
$ git rm --cached [File Name]

[예제]
// .idea/modules.xml 파일 삭제
$ git rm --cached .idea/modules.xml
// .idea 폴더 하위의 모든 파일 삭제
$ git rm --cached -r .idea/

profile
12년 .NET 개발 경력을 가진 웹 초짜 개발자입니다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