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Javascript 개념

JISU·2021년 12월 16일
0

TIL

목록 보기
24/27

오늘 배운 것

Javascript 개념

스코프

  • 스코프란?

    • 스코프란?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본적인 개념으로 식별자의 유효범위 뜻한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다른 언어의 스코프와 구별되는 특징이 있다.

      변수, 함수 등 식별자는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 의해 자신이 유효한 범위(다른 코드가 자신을 참조할 수 있는 범위)가 결정된다.

      이러한 범위를 스코프라고 한다.

    • 식별자 결정

      var x = 'global';
      
      function foo() {
        var x = 'local';
        console.log(x); // 1번 / local
      }
      
      foo();
      
      console.log(x); // 2번 / global

      위의 예제에서는 변수명이 똑같은 식별자가 2개가 있는데,
      하나는 전역 변수로 어디서든 참조할 수 있고,
      하나는 foo 함수 내부에서 선언된 변수이기 때문에 함수 내부에서만 참조할 수 있다.
      이름은 같지만 다른 별개의 변수이다.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console.log(x)를 만났을 때, 어떤 변수를 참조해야 할 것 인지를 결정하는 것을 식별자 결정(identifier resolution)이라고 한다.

    • 네임 스페이스
      스코프라는 개념이 없다면 같은 이름을 갖는 변수는 전체 프로그램에서 하나밖에 없어야 한다.
      프로그래밍에서는 이 스코프(유효범위)라는 개념을 통해 변수 이름 충돌을 방지하여 같은 이름의 변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스코프의 종류

    구분설명스코프변수
    전역코드의 가장 바깥 영역전역 스코프전역 변수
    지역함수 몸체 내부지역 스코프지역 변수

    변수는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 의해 스코프가 결정된다.

    전역에서 선언된 변수는 전역 스코프를 갖고, 함수 내부에 선언된 변수는 지역 스코프를 갖는다.

    var x = 'global';
    
    function foo() {
      var x = 'local';
      console.log(x); // 1번 / local
    }
    
    foo();
    
    console.log(x); // 2번 / global

    여기처럼 함수 내부에 선언된 x 변수 이외에 같은 이름의 전역 변수가 존재한다.

    이때 foo 함수 내에서 x를 참조하면 전역 변수를 참조하는 것이 아니라 함수 내부에 선언된 x 변수를 참조하게 된다.

    이를 식별자 검색(indentifier resolution)이라고 했는데,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스코프 체인을 통해 이 식별자 검색을 할 수 있는 것이다.

  • 스코프 체인

    💡 함수 안에 함수를 정의할 수 있는데, 이것을 함수의 중첩이라고 한다.
    함수 안에 정의된 함수를 중첩 함수(nested function),
    이 중첩 함수를 포함하는 함수를 외부 함수(outer function)이라고 한다. 함수가 중첩이 되므로 스코프 또한 중첩이 될 수 있고, 스코프가 함수의 중첩에 의해 계층적 구조를 갖는다. ( ⇒ 스코프 체인)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스코프를 통해 변수를 참조하는 코드의 스코프부터 시작해서 상위 스코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식별자 검색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상위 스코프에서 선언한 변수를 하위 스코프에서도 참조할 수 있는 것이다.
  • 함수 레벨 스코프

    코드 블록이 아니라, 함수에 의해서만 지역 스코프가 생성되는 것.

    💡 블록 레벨 스코프: 함수 뿐만 아니라 모든 코드 블록(if, for, while ..)이 지역 스코프를 생성하는 것. 대부분의 언어에서 블록 레벨 스코프를 생성한다. var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함수 코드 블록만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한다.
    그런데 이는 몇 가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ex)
    var i = 10;
    
    // for 문에서 선언한 i는 전역 변수다.
    		// 이미 선언된 전역 변수 i가 있으므로 중복 선언된다.
    for (var i = 0; i < 5; i++) {
      console.log(i); // 0 1 2 3 4
    }
    
    // 의도치 않게 변수의 값이 변경되었다.
    console.log(i); // 5

    var로 선언한 변수는 함수 레벨 스코프가 적용되므로 for문 밖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같은 함수 내에서만)
    따라서, 의도치 않은 동작을 일으킬 수 있다.

    그래서 나온 것이 ES6에 도입된 let, const 이다. 이는 블록 레벨 스코프를 지원한다.

  • 렉시컬 스코프

    • 예제)

      var x = 1;
      
      function foo() {
        var x = 10;
        bar();
      }
      
      function bar() {
        console.log(x);
      }
      
      foo(); // ?
      bar(); // ?

      결과 값은 bar 함수의 상위 스코프가 무엇인지에 따라 달라진다.

    1. 동적 스코프
      함수를 어디서 호출했는지에 따라 상위 스코프를 결정하는 것.
      이렇게 스코프를 결정하면 위의 예제에서는 bar의 상위 스코프는 foo 함수의 스코프이다.

    2. 렉시컬 스코프
      함수를 어디서 정의했는지에 따라 상위 스코프를 결정하는 것. 정적 스코프라고도 한다.
      함수 정의가 평가되는 시점에 상위 스코프가 정적으로 결정된다.
      자바스크립트는 이 스코프를 따른다.

      그러면, 호출될 때는 자기 상위 스코프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함수 정의가 실행되어 생성된 함수 객체는 결정된 상위 스코프를 기억한다.

      따라서, 함수를 어디서 호출했는지가 중요한 게 아니라, 함수를 어디에 정의했는지에 따라 상위 스코프를 결정한다.

profile
블로그 이전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