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항해99 10일차

JISU·2021년 11월 10일
0

부트캠프

목록 보기
11/20

오늘 일어난 일

오늘은 뭔가 싱숭생숭한 날이다.

어수선했다.

운영에 대한 불만은 원래 개인적으로도 가지고 있었지만, 많은 사람들이 불만을 제기하기 시작했다. 알고리즘 강의를 주지않아 가성비에 대해 생각을 하기 시작했고 원래 가지고 있었던 소홀한 운영이 많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알고리즘 주라고 해놓고, 강의는 안 주고 "조 짜줄테니 알아서 해봐라, 옆에 사람한테 물어봐라"라고만 해버리면 여기는 에꼬르인지 뭔지 그게 아니지 않은가? 결코 적지않은 돈을 내고 절박한 사람들 상대로 장사 이렇게 하면 안되는 거 아닌가 생각되었다.
강의 줄 때도 선심쓰듯이 이야기하는 것 너무 보기 싫었다.. "너네는 잘 푸니까 더 풀고 싶어서 알고리즘 강의 달라고 하잖아. 알고리즘 필요없는 문제인데, 그래 준다 줘."이렇게 해버리니까 너무 기분이 나빴다.
언어에 친숙해지는 주라고 해놓고, 알고리즘 주이지만 알고리즘 강의는 없고 너네들 알아서 해봐.
하니까 잘 하는 사람들 입장에서 나도 여기 얻으려왔지 누구 가르쳐주러 온 것 아니다.라고 생각하게 되는 것 같다. 그렇게 말하는 사람이 있었고, 많은 사람들이 공감했다.

근데 심지어 강의상태가 그렇게 좋은 것 또한 아니다. 종합반 강의는 죄다 복붙하는 것 밖에 없어 1주차 시작부터 헤매는 사람이 아주 많았고, 지금도 헤맬 것이다. 알고리즘 강의를 준다고 해결되는 문제조차 아닌 것이다.

또, 운영자/매니저 소통의 문제가 있다. 매니저가 서너명? 가끔 보이는 사람 두명하면 거의 5명 남짓한 인원이 3기 4기를 모두 관리하고 있는 것이다. 이게 말이나 되나?
200명 가까이 되는 인원인데? 심지어 5기도 모집해서 아마 사전스터디 하고 있을 것인데 인원은 더 늘어나고 신경써야 할 부분은 늘어났을 것이다.

조마다 매니저를 배치하는 건 말도 안된다고 생각하기는 한데, 최소한 방마다 한 명씩은 멘토 혹은 매니저가 있어야 하는 것 아닌가?

나는 일단 하차하지 않는 것으로 했지만(하차해서 팀 꾸려서 사당 가는 것까지 고려를 했지만, 사람들이 많이 빠졌고, 또 굳이 나갔다가 또 이도저도 안되면.. 이라는 생각에 하지 않기로 했다. 솔직히 너무 욕하다 보니 분위기에 휩쓸리긴 했다.) 몇 명은 정말로 퇴교했다. 실력자인 것 같았는데..ㅋㅋㅋ 한 분은 si출신 개발자에 한 분도 개발 잘 아시는 분이라던데.. 한 서너명 나갔나... 아무튼

아직도 걱정은 되는 게 실전 프로젝트에서 어떻게 조 편성이 될 것인가이다.

매니저들은 겁나 해맑게 100% 랜덤입니다. 라고 하는데 장난하나? 100퍼 랜덤 했다가 다 못하는 사람이랑 되면? 나 혼자 해야하는 상황이 되면? html css 모른다고 못 박으면? 그 땐 내 멘탈도 마찬가지 팀 프로젝트 퀄리티도 챙길 수 없게 된다.

일단은 하되 정 안되면 진짜 나가든지 해야지.. 1주차때 밤 늦게까지 해도 진짜 보람은 있었고, 너무 뿌듯했다. 정말 괜찮은 서비스를 만든다면 더 뿌듯하지 않을까 바라보면서 일기는 그만 써야겠다.


오늘 공부한 것

오늘은 어제 공부하기 시작했던 정규표현식을 조금 더 공부하기로 했다.
이제 대충 구조는 어떻게 쓰는 지 알았는데, 안에 어떤 값을 넣어야 하는지 잘 모르겠다.
그래서 공부를 해야겠다. 이 때 아니면 안 할 것 같어.

정규 표현식

/regex?/

기본적으로 /Hi/gm 하면 Hi를 찾고, /Hi|Hello/gm 하면 or 연산자로 Hi 아니면 Hello를 찾는 것이다.

  1. 그룹 / 레인지
    /(Hi|Hello)/gm => Hi 아니면 Hello를 group1 으로 하나로 지정
    /(Hi|Hello)|(And)/gm => group1(Hi,Hello)이거나 group2(And)

/gr(e|a)y/gm => grey or gray 찾음 (group 지정)
/gr(?:e|a)y/gm => grey or gray 찾음 (group 지정 X)

위에 걸 총 망라하는 것은 바로 []
/gr[a-z]y/gm => gray부터 grby, grzy까지 찾음
/[a-zA-Z0-9]/gm => a to z / A to Z / 0 ~ 9인 걸 다 찾음
/[^a-zA-Z0-9]/gm => a to z / A to Z / 0 ~ 9아닌 걸 다 찾음 (^은 not)

  1. 수량
    /gra?y/gm => a가 있거나 없거나 (gray / gry 찾음)
    /gra?y/gm => a가 있거나 없거나 (gray / gry 찾음)
    /gra*y/gm => a가 있거나 없거나 많거나 (gray / gry / graay / graaay 찾음)
    /gra+y/gm => a가 있거나 많거나 (gray / graay / graaay 찾음) / gry는 안찾는거임!!
    /gra{2,3}y/gm => a가 최소 2개, 최대 3개 있는 것 / {2}만 쓰면 항상 두개, {2,}만 쓰면 최소 두개만 쓸 수도 있음

  2. 바운드리 타입 (단어 경계)
    /\bYa/gm => Ya인데 단어 앞에서 쓰이는 애를 찾음
    /Ya\b/gm => Ya인데 단어 뒤에 쓰이는 애를 찾음
    /Ya\B/gm => Ya인데 단어 뒤에 쓰이는 애가 아닌 애를 찾음 (이렇게 되면 만약에 \b를 쓴 것 중에는 Ya 라고만 되어 있는 애를 찾지만 \B는 안 찾게 되는 것임!)
    /^Ya/gm => 문장에 시작된 Ya를 찾음
    /Ya$/gm => 문장에 뒤에 붙어있는 Ya를 찾음 (하지만 m을 빼면 전체 문장에서 찾기 때문에 원하고자 하는 것을 못 찾을 수도 있다.)

  3. 문자
    /[]{}/gm => 이렇게 특수 문자인 경우에는 백슬래시를 적용해야 찾을 수 있음
    /\d/gm => 숫자를 전부 찾을 수 있음
    /\D/gm => 숫자가 아닌 전부
    /\w/gm => word를 찾는 것이니 모든 문자를 찾음
    /\W/gm => 문자가 아닌 것을 모두 찾음
    /\s/gm => space 를 찾음
    /\S/gm => space를 제외한 모든 것 찾음

[참고 및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t3M6toIflyQ
엘리누님 설명이 후덜덜하네... 글로만 보면 무슨 말인지 진심 하나도 몰랐는데.ㅠㅠ

이제 좀 알 것만 같다.

profile
블로그 이전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