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G on Campus Backend-Spring 스터디 WIL
Week 07 - JPA 및 Hibernate를 사용한 ORM 통합
ORM(Object-Relational Mapping)
이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간 데이터를 자동으로 매핑하는 기술
JPA(Java Persistence API)
란?
- 자바 표준 ORM 명세로,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베이스 간 데이터 처리 로직을 추상화.
- 자바의 ORM(Object-Relational Mapping) 기술 표준으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의 모음.

- SQL 중심적인 개발 -> 객체 중심적인 개발

- 생산성 증가 : 반복적인 SQL 작성에서 벗어나 객체 중심으로 개발
- 유지보수 수월 : 데이터베이스 변경에 따른 영향 최소화
- Object와 RDB간의 패러다임 불일치 해결 :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간의 구조적 차이를 매핑으로 해결
Hibernate
란?
- 자바 진영의 다양한 ORM 프레임워크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레임워크
- JPA(Java Persistence API) 표준의 구현체 중 하나로, JPA의 명세를 따르면서도 자체적인 추가 기능을 제공
- ORM 기능 :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간의 매핑
- JDBC 추상화 : 데이터베이스 연결과 명령 처리를 간소화.
- JPQL(Java Persistence Query Language), 네이티브 SQL, Querydsl 등 다양한 쿼리 언어 지원
- 캐싱 기능 : 1차 및 2차 캐싱으로 성능 최적화
- 데이터베이스 독립성
SessionFactory
를 사용해서 session을 만들어 DB와 커뮤니케이션

Hibernate
사용 방법
- 엔티티 클래스 작성
- entity manager 작성
- crud 작업 수행
2차 캐싱
- 영속성 컨텍스트의 1차 캐싱을 넘어, 애플리케이션 전체에서 데이터를 캐싱하여 성능 최적화하는 방식
- 1차 캐싱(영속성 컨텍스트 내 캐싱)이 개별 세션에 국한된 반면, 2차 캐싱은 애플리케이션 전역에서 공유됨

지연 로딩 (<-> 즉시 로딩)
- 필요한 시점에 데이터를 로딩하는 방식
- 동작 원리
- 엔티티를 조회할 때, 연관된 데이터를 프록시(Proxy) 객체로 대신 설정
- 연관(JOIN)된 데이터에 접근하면 Hibernate가 데이터베이스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조회
Batch Fetching
전략
- JPA에서 지연 로딩(Lazy Loading)으로 인해 발생하는 N+1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
- N+1 문제: 하나의 엔티티를 조회한 후 연관된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가져오면서 N번의 추가 쿼리가 발생하는 문제
예) 부모 엔티티 1개를 조회한 후 자식 엔티티를 10개 조회하면, 총 1 + 10 = 11개의 쿼리가 발생
- 동작 원리
- 연관된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조회하는 지연로딩과 달리,
- 연관된 데이터의 ID를 모아서 한 번에 조회하여 쿼리 호출 횟수를 줄인다
JPA
vs Hibernate
vs Spring Data JPA
lealea.tistory.com
JPA: 객체-관계 매핑(ORM)을 위한 표준 명세인 인터페이스
Hibernate: JPA의 구현체. JPA의 다른 구현체도 존재
Spring Data JPA: JPA 기반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보다 간편하게 만드는 라이브러리/프레임워크
Spring Data JPA로 구현하면 로그에 Hibernate 구동이 뜬다. 이는 Spring Data JPA는 내부적으로 Hibernate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참고자료
codingbyjhyunn.tistory.com